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지난 27년간 발생한 산불 데이터를 분석해 '전국산불취약지도'를 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1991~2017년 발생한 1만1643건의 산불 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종합 분석하고 향후 산불 발생, 확산,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을 선별했다.
산불취약지역의 근거가 되는 산불취약위험지수는 산불발생밀도, 침엽수림과의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재해약자시설의 분포, 국가보호시설의 분포를 이용해 크게 A, B, C, D 등 4단계로 산출했다.
위험 등급은 A(상위 0~10%), B(상위 10~30%), C(상위 30~60%), D(상위 60~100%)로 분류된다.
A등급에 가까울수록 산불로 인한 재산,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지도는 산불감시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산불조심기간 입산통제구역과 등산로 폐쇄구역을 선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 진화차량이나 헬기를 산불취약지역에 전진 배치해 빠른 시간 내에 진화가 가능도록 하고 산불관리 통합규정에서 명시한 산불취약지역을 선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산불취약지도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을 통해 발간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다.
이병구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최근 산림휴양에 대한 수요와 귀농층 증가로 산림 인접지 산불피해 위험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면서 “산불취약지도를 활용하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얼마나 산불에 취약한지 알 수 있어 예방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
양승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