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청년기업 3사, AI 스마트 무인매장 구축 위해 뭉쳤다

첨단랩-고스트패스-에이버츄얼 공동 추진
AI 결제·UV 발광다이오드 기술 적용
출입 인증장치 등 전신 살균·공기 정화
테스트베드 시범 운영…상반기내 오픈

광주지역 청년기업 3개사가 인공지능(AI) 스마트 무인매장 구축을 위해 뭉쳤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살균·공조와 AI 생체인증 기반 스마트 상점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광센서 전문기업 첨단랩(대표 장하준)은 AI 핀테크 전문기업 고스트패스(대표 이선관)·AI 공조 및 방역 전문기업 에이버츄얼(대표 김태준)과 공동으로 탈중앙화 본인인증(DID), AI 생체인증·결제, 미세먼지 저감, 공조, 바이러스 살균기술 등을 융합한 '스마트 AI 무인매장' 사업화를 공동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나라키움 광주종합청사에 설치된 에이버츄얼의 AI 공기정화 및 전신 살균 시스템. 첨단랩의 바이러스 살균기술, 고스트패스의 DID 생체인증·결제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 AI 무인매장 사업화를 추진한다.
<나라키움 광주종합청사에 설치된 에이버츄얼의 AI 공기정화 및 전신 살균 시스템. 첨단랩의 바이러스 살균기술, 고스트패스의 DID 생체인증·결제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 AI 무인매장 사업화를 추진한다.>

이들 3개사는 AI 스마트 클린 무인매장을 이르면 상반기 내 선보일 예정이다.

첨단랩의 광 추출·확산 핵심인 '공기 기공층 산란기술'에 기반한 자외선(UV) 발광다이오드(LED) 원천기술 및 항·살균 기능, 고스트패스의 AI 생체인증 기반 DID 기술, 에이버츄얼의 AI 공기정화 및 전신 살균 시스템 등을 종합 적용한 스마트 무인상점을 론칭할 계획이다.

첨단랩의 열적 안정성과 내열성을 높인 UV LED와 항균 기술은 지난해 10월 KDB산업은행으로부터 10억원을 투자 유치하는 등 우수평가를 받고 있다. 고스트패스의 DID 기술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특정 서버나 클라우드에 공유하지 않고 개인 스마트 기기에 저장,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할 수 있다. 5중 암호화된 보안시스템을 적용하며 신용카드나 휴대폰과 같은 결제수단이 불필요하다. 에이버츄얼의 AI 공기질 모니터링과 청정장치, 살균시스템은 나라장터에 조달품목으로 등록돼 있다.

AI 스마트 무인매장은 출입 인증장치, 무인 계산대, 각종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신 살균 기능까지 갖춘다. 매장 이용을 꺼리는 고객 만족도 향상과 소상공인 매출증대, 노동시간 단축에 기여할 전망이다.

첨단랩과 고스트패스, 에이버츄얼의 스마트 AI 무인매장 공동 사업화를 위한 업무제휴협약서.
<첨단랩과 고스트패스, 에이버츄얼의 스마트 AI 무인매장 공동 사업화를 위한 업무제휴협약서.>

이들 3개사는 광주시의 에어가전(공기산업)과 AI산업 육성 전력에 맞춰 사업화에 초점을 둘 계획이다. 사단법인 창업지원네트워크(이사장 하상용)와 광주공유센터(센터장 장우철),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원장 탁용석)과 공동으로 광주시 동구 전일빌딩245에 인증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시범 운영한다.

또 광주로컬푸드 빅마트(대표 하정윤)와 스마트 매장 및 스마트 편의점 브랜드도 출시한다. 차량용 살균과 방역용 이동 로봇 등을 결합해 스마트 시티 비즈니스 모델로 확대 적용하고 수출도 추진할 예정이다.

장하준 첨단랩 대표는 “저렴한 비용으로 스마트상점을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맹점주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라며 “소비자 결제 편의성을 도모하고 소상공인과 기업 매출 증대, 경기침체를 극복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