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크]교통 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휠체어 기술'

기술 발전으로 자율주행차 중심 미래 모빌리티는 먼 미래가 아닌 현실이 돼가고 있다.

교통 약자에게 미래 모빌리티 기술이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모든 이들이 자율주행차 장점을 누릴 수 없는 현실에서 벗어나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와 모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PBV(Purpose Built Vehicle)와 같은 새로운 교통수단이 필요하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단거리 이동 수단이다.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은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이 되어줄 전동 휠체어도 퍼스널 모빌리티에 해당한다.

자율주행 휄체어 기술.
자율주행 휄체어 기술.

미국 휠체어 사용자는 2020년 33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에 해당되며, 전동 휠체어는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의 41%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도 고령화 추세 가속화와 1인 가구 증가로 혼자서 일반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들이 증가하고 있어, 자율주행 휠체어는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

자율주행 휠체어는 라이다, 카메라·초음파 센서 등으로 정보를 수집해 자율주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식하는 인휠(In-Wheel) 시스템을 갖췄다.

휠체어는 용도나 사용자 특수성에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지면서 진가를 발휘한다. 신체적 이유로 보행이나 이동이 불편한 상황뿐 아니라 시각, 청각적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도 자율주행 기능을 이용하면, 보호자 도움 없이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현재는 병원, 미술관 등 특정 공간과 요양시설 등 실내 이동 시 보호자 없이 이동이 가능한 초기 수준이다. 그러나 향후 시설 밖에서의 주행도 가능하게 되어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될 것이다.

휠체어의 자율주행이 기술이 완성되면, 이후에는 다른 모빌리티 결합과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기술이 필요해진다. '자동 탑승 기술'을 이용해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PBV나 개인용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탑승하려는 PBV 차량에 인접하면 휠체어와 PBV가 통신하며 자동으로 차량 내부로 이동하는 기술이다.

또 휠체어가 차량 내부에 안전하게 고정되는 도킹 시스템도 개발될 것이다. 도킹 시스템은 휠체어뿐 아니라 유모차, 전동 킥보드 등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전복이나 추돌에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등 안전 기술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휠체어용 기술은 교통약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이동수단 간 환승 불편함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단거리용 휠체어를 장거리 이동까지 확장해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이동 평등권과 안전을 보장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시작됐다. 실제 성남시는 상세 도로 정보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한 '전동 휠체어 자율주행 길안내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