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4차 산업혁명 차세대 리더' 마이비·플코스킨·홈리에종·키두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속도를 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기업 일각은 물론 산업군 전반 문화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이종(異種) 산업 간 연계는 물론 지속 발전을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의 강조 등 4차 산업혁명기 기업 특징이 기존 기업은 물론 창업 측면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사회적 기업'은 산업문화 혁신을 비롯해 인류 미래생존권 확보 차원에서 혁신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함께 중앙·지방정부 일각의 전폭 지원을 받는 등 창업 주류의 한 축으로 성장하고 있다.

사진=서울창업허브 성수 제공.
<사진=서울창업허브 성수 제공.>

전자신문은 서울시·서울산업진흥원이 주도하는 수도권 창업모체 '서울창업허브' 중 사회와 기업 혁신리더 '서울창업허브 성수'와 공동으로 2부작 시리즈 '4차산업 新 중심, 소셜 스타트업'을 기획, 유력 스타트업 7곳의 면면을 소개한다. 첫 회차는 △웰니스 기능성 식품 연구기업 '마이비' △유방암 환자 의료기기 개발 및 뷰티기업 '플코스킨' △디자인 핸들링 시스템 기반 홈스타일링 플랫폼 '홈리에종' △유아교육 스타트업 '키두' 4곳을 다룬다.

◇'내 몸이 즐거운 웰빙식단 메이커' 마이비

마이비(대표 김용운)는 '식단으로 찾는 가치관리'라는 기업 슬로건과 함께 2015년 10월 설립된 푸드 스타트업이다.

사진=마이비 제공
<사진=마이비 제공>

이 곳은 헬스트레이너 경험을 지닌 김용운 대표가 운동만큼 식단관리 어려움을 겪는 대중 모습을 보고서 일반식 형태 식단관리용 간편식을 만들겠다는 취지로 설립됐다. 10년 이상 식단 카운셀링 경험을 지닌 임상영양사를 비롯한 전 직원의 연구개발(R&D) 협력을 바탕으로 대중 입맛은 물론 제한적 칼로리 내에서도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균형 있는 영양소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군을 만들어내며 주목받고 있다.

사진=마이비 제공
<사진=마이비 제공>

식품안전관리인증 HACCP, 식품안전경영 시스템 ISO22000, FSSC22000 등 인증과 함께 브랜드 '마이비밀'로 판매 중인 '더슬림 도시락' '진선미 떡볶이' '딜라이트 저칼로리 아이스크림' 등은 닭가슴살, 고구마 등 정형화된 체중조절 식단에 다양성을 부여하는 한편 영양학 측면에서도 충분히 고려된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으로서 지난해 마켓컬리 매출성장률 1위 기업 선정 등 쿠팡·GS리테일 등 대기업 유통계에서 두각을 나타낼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김용운 마이비 대표.
<김용운 마이비 대표.>

마이비는 기존 제품군은 물론 신규 제품 개발 등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한편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한 쇼퍼블 콘텐츠 기반 식단관리 플랫폼 개발 등 소통 및 피드백 범위를 넓히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김 대표는 “저희 기업 미션 자체가 '식단관리의 즐거움을 전하는 기업'인데 그 즐거움 범위를 일반적인 맛에서 동기부여와 성취감, 공감대로까지 확산시키고자 한다”면서 “다양한 제품 개발과 소통채널 마련 등 행보와 함께 식품사업을 넘어 식단관리 어려움을 전반적으로 해결해줄 수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인간의 삶의 질을 되살리는 연구' 플코스킨

플코스킨(대표 백우열)은 '사람을 위한 기술'이라는 기업 이념과 함께 2017년 2월 창업된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사진=플코스킨 제공
<사진=플코스킨 제공>

이 기업은 현재 연세대 조교수로 재직 중인 백우열 대표를 비롯한 일련의 연구 인력들을 바탕으로 재생용 스케폴드 단백질 연구 및 항노화 원료를 통한 뷰티제품, 의약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인공진피 대체품 시제품(상면). (사진=플코스킨 제공)
<인공진피 대체품 시제품(상면). (사진=플코스킨 제공)>

특히 유방재건술, 화상재건 등 경험에서 비롯된 신체조직 재건 수요와 연세대 생명공학부·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암수술·외상수술에 따른 연부조직 결손을 채울 수 있는 인공진피 대체품 등 재생용 의료기기 연구에서 부쩍 성과를 내면서 국내는 물론 유럽 중소기업청 과제 수주 등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노화된 세포재건에 효능을 나타낸 줄기세포 추출물을 기초로 한 뷰티제품 브랜드 YOULIEF(유리프) 개발과 함께 핀란드 e커머스기업과 업무협약, 북유럽 스타트업 피칭-네트워크 SLUSH 톱100 선정 등 저력을 보이고 있다.

뷰티제품 브랜드 유리프. (사진=플코스킨 제공)
<뷰티제품 브랜드 유리프. (사진=플코스킨 제공)>

이들은 꾸준한 투자를 바탕으로 한 연구, 비즈니스를 거듭하며 약 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연부조직 재건 시장에서 다크호스로 발돋움할 준비를 하고 있다.

백우열 플코스킨 대표.
<백우열 플코스킨 대표.>

백 대표는 “장기적 부작용 문제를 겪고 있는 기존 메쉬시장과 사체유래진피 등 장점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의료기기들을 국내외적으로 선보이면서 연부조직 결손 환자들에게 저렴하고 빠르며 안전한 치료법을 제시하는 등 인간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며 진실한 미래 선도기업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소통하는 홈 인테리어의 미래' 홈리에종

홈리에종(대표 박혜연)은 2018년 7월 설립된 홈스타일링 플랫폼 기업이다.

사진=홈리에종 공식페이지 캡처
<사진=홈리에종 공식페이지 캡처>

15년 경력 인테리어 디자이너 박혜연 대표를 비롯해 경력 1년차부터 19년차까지 50여명에 이르는 프리랜서 디자이너와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고객 예산과 공간상황, 취향 등에 맞춰 홈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리에종 디자이너 파트너십 소개. (사진=홈리에종 제공)
<홈리에종 디자이너 파트너십 소개. (사진=홈리에종 제공)>

특히 고객이 선택한 디자이너 1인이 전담해 초기계획부터 시공까지 홈인테리어 전반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케어 시스템과 디자이너 자동 큐레이션 등 서비스 노하우를 통해 고객취향에 맞는 인테리어를 적극 소통을 통해 마무리한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는 곧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탄력적 재택근무 등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대중의 홈인테리어 욕구를 충족하는 대표기업으로서 입지를 든든히 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박혜연 홈리에종 대표.
<박혜연 홈리에종 대표.>

박 대표는 “앞으로 디자이너 자동 큐레이션이나 프로젝트 케어 시스템 등을 정교화하며 인공지능(AI) 기반 설계를 통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더 많은 분들이 공간변화의 아늑함과 안정감을 경험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두를 위한 인테리어 홈리에종이 되겠다”고 말했다.

◇'현실과 상상을 잇는 유아교육 마법사' 키두

키두(대표 정세경)는 2014년 2월 설립된 유아 교육 스타트업이다.

키두 플립박스 교육장면. (사진=키두 제공)
<키두 플립박스 교육장면. (사진=키두 제공)>

이곳은 유치원·어린이집 대상 '롤박스', 일반 유아동 가정을 위한 '플립박스' 등 브랜드와 함께 아이들의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사용자경험(UX) 콘텐츠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키두 서비스 가운데 플립박스(정기구독)는 유아동적 상상요소와 직업을 결합한 '직업미션' 핵심의 주 1회(25분) 비대면 일대일 온라인 클래스로 학습 집중도나 효율 면에서 피학습자인 유아동은 물론 학부모에게도 호평을 얻고 있다.

키두 플립박스 셀프학습. (사진=키두 제공)
<키두 플립박스 셀프학습. (사진=키두 제공)>

교육 진행과 함께 마련된 다양한 개별 피드백을 토대로 꾸준한 교재연구를 거듭, 국가 공통 누리교육과정에 맞춘 일선 교육현장 수요도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세경 키두 대표.
<정세경 키두 대표.>

정세경 키두 대표는 “유아 중심 놀이교육이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 증명돼 누리교육과정에도 반영됐지만 당장 성과를 이유로 부모님들의 저항은 아직 큰 편”이라면서 “미래인재인 아이들의 역량을 보다 다채롭게 키울 수 있도록 플립박스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구들을 고도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선기자 dspark@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