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민·관, 최대 2조6000억 투입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7일 열린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7일 열린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국내 5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인큐베이터가 구축됐다. 민·관은 최대 2조60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투자, 소부장 기술 고도화를 위한 핵심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5대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을 열었다.

정부가 지난 2월 지정한 소부장 특화단지는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탄소소재 △정밀기계 등 5개 핵심 산업 공급망을 집적화하는 클러스터다. 앵커기업과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산·학·연의 연대와 협력 생태계 조성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는 한편 국제적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발판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이날 출범한 추진단은 특화단지별 테크노파크(TP), 공공연구기관, 지역대학, 업종별 협·단체 등 43개 산학연 핵심 기관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기업간 협력수요 발굴 △신규 사업 기획 △산·학·연 네트워킹 활동 지원 등을 중점 추진하게 된다. 단지별 추진단 대표기관은 차세대융합기술원(반도체), 충북TP(이차전지), 충남TP(디스플레이), 탄소산업진흥원(탄소소재), 경남TP(정밀기계)다.

5개 특화단지에는 앵커기업의 1조4000억원 규모 상생협력 계획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연구개발(R&D),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 사업 연계 계획을 포함해 최대 2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단지별 투자 계획은 경기 약 1조7000억원, 충북 약 3000억원, 충남 약 3000억원, 전북 약 1000억원, 경남 2000억원이다.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은 “외부 위협에 흔들리지 않는 소부장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추진단이 중앙정부, 지자체, 앵커기업, 연구기관, 대학이 합심해 소부장 특화단지를 성공시키는데 핵심 역할을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현황

'5대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민·관, 최대 2조6000억 투입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