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5G 서비스 확실한 대중화 단계 진입...품질향상·혁신서비스 발굴 지속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농어촌 5G공동이용 시범 상용화 기념식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농어촌 5G공동이용 시범 상용화 기념식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동통신사별 5G 가입자 현황

5세대(5G) 이동통신서비스는 상용화 2년 8개월 만에 가입자 2000만명을 돌파하며, 확실한 대중서비스 지위를 확보했다. 5G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언택트 생활문화 확산에 발맞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 서비스 활성화 촉매제가 됐다.

다만, 5G 품질 논란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롱텀에벌루션(LTE)과 구분짓는 킬러서비스를 아직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통한 서비스 품질 제고와 기업용(B2B) 등 혁신서비스 창출, 이용자 선택권 강화는 과제다.

◇5G 국민서비스 '안착'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1년 11월말 기준 5G 서비스가입자는 2018만9808명이다. 전체 이통 가입자가 7000만명임을 고려하면, 국민 3명 중 1명이 5G 스마트폰을 사용할 정도로 대중 서비스로 자리잡은 것이다.

5G 상용화 이후 3년간 성능과 커버리지는 계속 확장됐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2020년말 690.47Mbps에서 2021년말 801.48Mbps로 약 16% 이상 증가했다. 5G 커버리지는 같은 기간 5409.3㎢에서 19044.04㎢로 3.5배 이상 확대됐다.

이같은 진화를 바탕으로 5G는 모바일 동영상과 클라우드 등 활성화에 기여했다. 넷플릭스와 유튜브 등 OTT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기반 1인 방송도 일상화됐다. 평균 다운로드 속도 800Mbps에 이르는 초고속 성능과 저지연 성능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게임이 활성화되고 있다. 기업용 서비스 분야에서는 스마트공장 등 5G 모바일에지컴퓨팅(MEC)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산업 혁신인프라로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서비스 품질 지속 제고·킬러서비스 창출 과제

다만, 5G 서비스가 완벽하다고 평가하기에는 이르다. 지난해에도 5G 서비스 민원이 지속됐다.과기정통부와 이통3사는 2022년 농어촌 5G 공동로밍을 커버리지를 교외지역까지 본격 확대한다. 교외지역은 물론이고, 실내 일반 건물 등을 중심으로 보다 촘촘한 5G 망 구축이 필요하다.

기술 측면에서도 현재 5G는 KT를 제외하면 LTE망과 결합해 활용하는 비단독규격(NSA)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동통신사가 5G 성능을 온전하게 구현하는 단독규격(SA) 상용화 등 성능 업그레이드에도 지속 관심을 기울여야 할 전망이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메타버스 분야에서 5G 성능을 충분히 활용 가능한 킬러서비스를 발굴해내는 게 과제다.

5G 서비스 지속 혁신을 위해서는 투자가 필수다. 이통3사는 지난해 3분기 연속 합산 영업이익이 1조원을 초과하는 등 호실적을 기록하며 실탄을 비축했다. 대선 때마다 반복되는 통신비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혁신기술·인프라 확산을 위해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

아울러, 망 투자·유지 비용을 이용자 요금과 통신사 비용으로만 전담할 게 아니라, 데이터트래픽을 독식하는 소수 거대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분담하도록 망 이용대가 정책 논의가 필요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2022년 5G 가입자 증가 등 5G 확산과 함께 투자 확대가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2021년 11월 이동통신사별 5G 현황

[뉴스해설]5G 서비스 확실한 대중화 단계 진입...품질향상·혁신서비스 발굴 지속해야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