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ODA 사상 첫 4조원 돌파…“개도국 디지털 전환 지원”

지난해보다 7.7% 늘어
'한국형 디지털 모델' 확산
과기-ICT 중심ODA 추진

올해 ODA 사상 첫 4조원 돌파…“개도국 디지털 전환 지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022년 공적개발원조(ODA)현황

올해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규모가 작년보다 7.7% 늘어난 4조425억원으로 사상 처음 4조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개발도상국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ICT) ODA 사업을 추진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7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40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주재하고 이 같은 계획을 확정했다.

올해 ODA 사업 규모는 작년(3조7543억원)보다 2882억원 증가한 4조425억원으로 확정됐다. 총 88개 수원국 및 61개 국제기구를 대상으로 44개 기관(11개 지자체 포함)에서 1765개 사업을 시행한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0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0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신남방 ODA 전략 이행을 위해 아시아(37.0%) 중심의 지원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아프리카 지원 비중(18.8%)도 확대한다. 분야별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보건(13.2%) 및 인도적 지원(9.8%)에 중점을 두면서도 교통(13.1%), 교육(9.1%), 공공행정(7.7%) 등 우리나라에 비교우위가 있는 분야도 고르게 지원한다.

또 ODA의 질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한국 ODA를 대표할 수 있는 패키지 사업을 적극 기획·발굴한다. 민간재원 활용 등을 통한 개발재원 규모 확대 및 다양화, 국내외 개발협력 주체와 파트너십 선진화 등 지속발전 가능한 개발협력 생태계 조성도 중점 추진한다.

특히 정부는 '한국형 디지털 모델'을 대외 확산해 개도국 위기 회복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촉진한다는 목표다.

개도국이 스스로 혁신할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개도국의 과학기술·ICT 혁신 역량 확충을 지원한다. ODA 사업에 수원국이 수용가능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도전적 기술이 적용된 경우에는 교육훈련 등 후속사업을 통해 기술의 안착을 지원한다. 기술발전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술사업화 등을 지원하는 한편 디지털 격차 완화 등 포용적 전환도 추진한다.

6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기술과 ICT를 결합해, 개도국 사회·경제 전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공공행정 분야는 한국형 디지털정부를 확산하고 도시개발은 대형 스마트시티교통 등 모범사례를 창출한다. 농수산 분야는 스마트팜 등을 통해 개도국 생산성 증대를 지원하고, 교육에서는 디지털 교육 인프라를 확충한다. 보건의료 분야는 방역·의료체계의 스마트화 및 원격의료 등을 활용한 의료 접근성 제고, 에너지·기후는 스마트 전력시스템 보급 및 ICT 기반 기후변화 대응을 중점 지원한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ICT ODA와 관련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 UN 디지털협력대화 등 글로벌 협의체에서 논의를 주도하고 국제기구 및 선진 공여국과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한다. 앞으로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중심 범정부 거버넌스를 강화, 정부, 공공, 민간, 국제기구를 아우르는 협업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발굴수행할 계획이다.

<'22년 국제개발협력(ODA) 현황(확정액 기준)>

올해 ODA 사상 첫 4조원 돌파…“개도국 디지털 전환 지원”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