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칼럼]P2P, 포용금융 역할 강화하려면

[핀테크 칼럼]P2P, 포용금융 역할 강화하려면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은 한마디로 온라인을 활용한 '간편대출'이다. 연체율·부실률 상승으로 금융 당국의 제도화 과정을 거쳤던 작년엔 한때 주춤하기도 했지만 올해 이후론 다시 가파른 성장세로 나타나고 있다. 누적 대출액 기준 2017년 말 1조6820억원이었던 것이 작년 말에는 9조4756억원, 올해 4월 말엔 12조1672억원으로 각각 늘어났다. 1~4월 증가액만 1조2000억원으로 연 환산 기준 33% 급성장세다. 인가를 받아 제도권에 진입한 P2P업체도 작년 말 36개사에서 지금은 47개사로 불어났다.

한때 부실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P2P는 잘만 활용하면 장점이 많은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온라인 대출이기 때문에 인건비, 임대료 등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그만큼 투자자(자금공급자)에게 높은 투자수익률, 차입자(자금수요자)에겐 상대적으로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셈이다.

손안의 스마트폰 플랫폼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공간 제약이 없다. 24시간 365일 언제 어디서나 대출과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 정보기술(IT)을 활용한 규모의 경제 효과도 눈여겨볼 포인트다. IT로 수많은 소액 대출 건을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당국 입장에서 P2P가 특히 의미가 있는 건 '포용금융'(Financial Inclusion) 내지 신파일러(Thin filer)에 도움을 줄 수 있단 점일 것이다. 비용 절감분만큼 저금리의 '중금리 대출'을 할 수 있고, 플랫폼에 쌓인 데이터 분석으로 이제껏 접근하지 못한 저신용 계층에 대한 대출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정책당국은 인터넷은행에 대해 중금리 대출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은행은 누가 뭐라 해도 규제가 엄격한 '은행법에 근거한 은행'이다. 저신용자 대상 대출은 부실 위험 때문에 제약이 있단 얘기다.

이에 따라 포용금융에 관한 한 P2P 잠재력은 상당히 큰 셈이다. 지난 2019년 10월 우리나라 국회가 세계 최초로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온투법)을 통과시킨 것도 P2P 포용금융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 할 수 있다.

P2P 대출시장의 전망은 어떤가. 글로벌 리서치업체 리포트앤드데이터(Reports and Data)에 따르면 글로벌 P2P 대출은 급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18~2026년에 연 26.6% 성장해서 2026년 기준 5673억달러(약 665조원)까지 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제성장이 빠르고 모바일 활용도가 높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전체에서 4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온투법으로 P2P 제도장치를 마련한 데다 포용금융 대상이라 할 수 있는 자영업자 비중도 25% 안팎으로 상당히 높다. 정책 기조 및 활용 여부에 따라 성장세가 글로벌 P2P시장보다 빠를 수 있는 이유다.

국내에선 어떤 업체들이 대표적인가. 작년 7월 최초로 인가받은 P2P업체인 8퍼센트·렌딧·피플펀드를 비롯해 부동산 P2P대출 1위 업체인 투게더펀딩·어니스트펀드 등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대출 P2P 비중이 70%로 여전히 높지만 중·저 신용자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과 대안신용평가모델(CSS모델) 개발 경쟁에 속도가 붙고 있어 향후 포용금융시장 성장 기대감을 높여 주고 있다.

해외 진출 성공 가능성도 훨씬 커졌다는 평가다. 과거엔 국가마다 신용평가와 본인 확인 시스템이 달라서 애로가 많았지만 이젠 국내외 모두 동질적인 모바일 스마트플랫폼을 쓰기 때문에 제휴 협력과 시너지효과 창출이 전보다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물론 P2P도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데다 비대면에 따른 위험도 적지 않아 상품 구조와 기업 공시 내용을 꼼꼼히 챙겨 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포용금융에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는 강점이 있고, 플랫폼 시대에 걸맞게 손안의 플랫폼을 통해 자금 수급을 연결하고 있는 만큼 성장성이 상당하다는 게 대다수의 의견이다. 포용금융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중·저 신용자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핀테크 전용 펀드를 활용한 투자 확대 등 인프라 조성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ysjung1617@sog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