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생산유발효과 5.1배…산업으로 키워야"

서울 서초구 전자신문사 회의실에서 연중기획 디지털 융합 K-콘텐츠의 힘 좌담회가 열리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서울 서초구 전자신문사 회의실에서 연중기획 디지털 융합 K-콘텐츠의 힘 좌담회가 열리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K-콘텐츠 연간 매출·수출액 추이

K-콘텐츠 글로벌 열풍을 지렛대로 연관산업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정부 차원의 종합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문화 콘텐츠를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별도 산업 차원에서 육성해야 한다는 접근법이다.

전자신문은 연중기획 '디지털 융합 K-콘텐츠의 힘' 좌담회를 열고 산업으로서 K-콘텐츠 발전 방안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콘텐츠산업이 전체 산업 생산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뜻하는 생산유발효과는 5.1배로 나타나는 등 산업적 가치가 입증됐다.

"K-콘텐츠, 생산유발효과 5.1배…산업으로 키워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콘텐츠 1억달러 수출 시 소비재 등 콘텐츠 관련 산업의 1억8000만달러 수출 증가가 이뤄진다. 소비재 수출 견인을 포함한 생산유발효과는 5억1000만달러, 취업유발효과는 2892명으로 추산됐다.

이병민 건국대 문과대학장은 “음악·방송·영화 등 동일한 문화상품 소비가 지역 간 문화 근접성을 높이고, 문화 근접성이 높아지면 취향이 개입되는 소비재 선호도 증가해 관련 무역을 촉진한다”면서 “콘텐츠산업의 중요성이 계속 높아지는 만큼 일부가 아니라 다수 참여자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콘텐츠 고도화도 언급됐다. 도전이 많아지고 실패의 충격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콘텐츠 진흥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특히 최근 일고 있는 K-콘텐츠 붐을 꾸준히 이어 갈 시스템과 인프라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콘텐츠의 위상은 국가 브랜드 이미지에 즉각적 기여하는 등 그 나라의 문화적 위상을 나타낸다”면서 “콘텐츠산업의 규모적 성장과 글로벌 성공 사례에 안주하지 말고 콘텐츠 중심 투자를 확대, 더 많은 K-콘텐츠를 지속 생산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