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금융·환율 정책 병행해 수입물가 상승 주도 인플레이션 대응해야"

6월 기준 주요 품목별 수입물가 상승률. <자료 산업연구원 제공>
6월 기준 주요 품목별 수입물가 상승률. <자료 산업연구원 제공>

이번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은 에너지와 식품 관련 수입물가 상승이 주도하는 비용인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책과 환율정책을 병행해 수입물가가 국내 생산자물가 및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은 이 같은 내용은 담은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인플레이션은 수입물가 상승이 촉발 및 주도하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수입물가는 33% 이상 올라갔다. 수입물가는 생산자물가 상승에 73~82%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물가 중 특히 에너지와 비료, 농산물 등 식품 관련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환율 상승도 수입물가 상승 요인이다. 상반기 평균 기준으로 전체 수입물가 상승 약 3분의 1이 환율 상승 영향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세계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와 미국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오름세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특히 생산자물가의 경우 수입 에너지가격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특징을 보인다.

다만 보고서는 하반기로 갈수록 인플레이션이 점차 완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최근 국제유가 등 진정 추이, 긴축에 따른 세계경기 후퇴 전망, 지난해 기저효과 등이 고려됐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주요국 인구 변화에 따른 글로벌 노동공급 둔화, G2 헤게모니 갈등 심화에 따른 글로벌 가치사슬(GVC) 후퇴,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비용상승 등 물가 불안을 전망했다.

보고서는 수입물가 변동이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전통적인 금융정책과 환율관리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은행 금리인상을 통해 금융긴축과 대외 금리 차이를 통한 물가 안정과 환율 관리를 주목했다.

또 석유석탄 제품처럼 수입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비용상승을 훨씬 초과하는 경우 이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한 인플레 대응 정책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