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작년 30조 적자 전망…전력판매만 22조 손해봤다

부대비용 등 포함 최소 20조 후반
전력구입과 판매금액 격차 여전
SMP 상한제에도 12월 3조 손실
취약층 지원·지역별 차등요금 등
요금 인상 앞두고 대응책 시급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전력공사 본사. 나주=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전력공사 본사. 나주=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한국전력공사 전력구입금액과 판매수입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전력판매로만 22조원 규모의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배전 관리 등 부대비용을 고려하면 지난해 30조원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전력도매가격(SMP) 상한제에도 불구하고 한 달 동안 3조원 가까운 손실을 입었다. 에너지 전문가는 올여름을 앞두고 전기요금 인상과 함께 취약계층 보호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지역별 차등요금체계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3일 한전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한전의 전력구입금액은 약 88조8633억원, 전력판매수입은 약 66조301억원으로 나타났다. 한전은 이에 따라 전력판매에서만 지난해 총 22조8332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부대비용 등을 감안하면 지난해 적어도 20조원 후반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한전의 실적에서 전력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85~90% 수준”이라면서 “기타 송·배전 비용, 영업비용, 기타비용 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에너지 원자재 가격 상승과 연료비 폭등으로 전력구입금액이 대폭 폭등했지만 전력판매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요금은 소폭 인상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전력구입금액은 전년 53조4693억원보다 약 66.2% 증가했다. 반면에 전력판매수입은 전년 57조6715억원과 비교해 14.5%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10월 전기요금 인상 이후로는 전력판매수입이 전년 대비 20% 이상씩 상승했지만 여전히 전력구입비와 판매금액의 격차가 존재하면서 겨울철에 적자 규모를 키웠다.

한전, 작년 30조 적자 전망…전력판매만 22조 손해봤다

특히 SMP 상한제가 적용된 12월에도 한전은 대량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의 전력구입금액은 9조5098억원, 전력판매수입은 6조5873억원으로 한 달 사이에 약 2조9225억원 손실을 봤다. 3조원에 이르는 손실 폭은 역대 처음으로 추산된다.

이마저도 지난해 12월 전력구입단가가 ㎾h 당 177.74원으로 같은 기간 평균 SMP 267.63원에 비해 89.89원 낮은 가격으로 구입한 점이 반영됐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전력판매단가는 ㎾h 당 140.37원으로 여전히 ㎾h 당 37.37원을 손실보면서 전력을 팔았다. 올해 1분기 전기요금 ㎾h 당 13.1원 인상됐지만 격차를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발전업계는 SMP 상한제 시행 후 두 달 동안 한전이 전력구입금액을 7000억원 줄였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 달 동안 약 3500억원 정도로 이를 반영하면 한 달 사이에 3조원이 넘는 손실을 기록한 셈이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여전히 손실을 봐야 하는 상황에서 전력수요가 상승하면서 손실 폭이 커졌다는 진단이다.

에너지 전문가는 현 상태면 한전의 누적 부채가 더 가파르게 증가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9월 이후 월 평균 SMP는 ㎾h 당 200원을 지속 초과하고 있다. 지난달 평균 SMP도 ㎾h 당 240.81원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달까지는 SMP 상한제로 인해 한전이 민간발전사와 대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는 싼 가격에 전력을 구매할 수 있지만, 오는 3월부터는 SMP 상한제를 시행할지 장담할 수도 없다. 이에 따라 향후 전기요금 인상을 앞두고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되, 지역별 차등요금체계 등 장기적으로 한전의 전력구입비를 줄이기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전기요금 가격신호 효과를 위해 소매요금은 인상하되, 에너지 소외계층에 대한 보완방안을 같이 마련해야 한다”면서 “현재 육지계통에 대해서는 SMP가 단일 SMP로 돼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소매요금도 지역별로 차등을 두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