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진단한다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데이터 분석활용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역량진단이 다음 달부터 기관별로 시행된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행정·공공기관의 데이터 활용역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역량 진단지표'를 개발하고 다음달 공공부문 전 기관에 배포·시행한다.

기관은 진단지표에 따라 자체 진단을 실시한다. 이 결과를 활용해 기관 수준과 특성에 맞는 역량강화계획을 수립·시행한다.

행안부는 데이터 기반 행정을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 기관별 데이터분석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 지난해 8월부터 전문가와 지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지표(안) 마련 이후,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10개 기관 대상 시범운영 과정과 데이터 분야 전문가 자문을 거쳐 현장 적합도 높은 새로운 진단지표를 개발했다.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진단지표는 개별 기관 데이터 활용역량을 조직·개인 부문으로 나눠 입체적으로 진단한다. 업무 성격과 직위를 고려해 역량 수준을 심층 진단하도록 구성했다.

조직부문에서는 △데이터 비전·리더십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등 3개 분야별 진단문항을 통해 조직역량 수준을 측정한다.

개인부문은 △정책·분석기획 △데이터수집 △데이터분석 △분석결과 활용의 4개 분야에 대해 기관 구성원의 데이터 분석활용 수준을 진단한다.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진단지표 개발과정에서 공공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활용역량 수준도 정의했다. 기관별 조직문화와 기반(인프라) 수준, 업무·정책수립 시 데이터 활용 실태 등을 고려해 도입기, 발전기, 확산기, 성숙기, 정착기의 5단계로 역량 수준을 구분했다.

행안부는 각 기관이 손쉽게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을 진단하도록 3월 중 선보일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탑재하는 등 온라인상으로 진단도구를 제공할 예정이다. 온라인 기반 자율적 진단을 통해 각 기관의 조직역량, 개인역량, 종합역량 수준은 물론 맞춤형 역량개선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제안한다.

행안부는 사용자 지침(가이드라인) 제공과 진단지표 활용 설명회를 통해 각 기관의 적극적인 진단 시행을 독려한다. 연중 운영되는 '역량 강화 자문(컨설팅)'을 통해 역량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등 기관 맞춤형 역량개선을 지원한다. 행안부 주관으로 매년 시행 중인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과정에서도 새로운 진단지표 활용을 권고해 나갈 방침이다.

이용석 행안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디지털플랫폼정부 성패는 정부 기관 데이터 분석활용역량 수준에 달렸다”면서 “정확한 역량진단을 통해 기관별 맞춤형 교육과 자문(컨설팅) 등을 연계해 실행함으로써 정부 전체 데이터 기반 행정역량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