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식 언론대응…트위터 기자 문의메일 '똥 이모지' 자동 응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지난해 트위터를 인수한 머스크 CEO가 트위터 언론 대응용 이메일에 자동 응답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해당 메일을 보내면 오는 자동 응답(아래). 사진=트위터 캡처
<지난해 트위터를 인수한 머스크 CEO가 트위터 언론 대응용 이메일에 자동 응답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해당 메일을 보내면 오는 자동 응답(아래). 사진=트위터 캡처>

트위터 언론대응팀을 해체한 뒤 언론 공식 소통을 사실상 중단했던 일론 머스크가 이번에는 트위터 언론 문의메일에 ‘똥’ 모양 이모지로 자동 응답을 설정하는 기행을 보였다.

머스크는 1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트위터 언론 대응용 이메일에 자동 응답으로 똥 모양 이모지를 설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머스크는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뒤 언론 대응 담당 직원들 전부를 포함한 대규모 감원에 나섰다. 언론 대응(커뮤니케이션)팀이 해체되면서 지난 5개월 간 트위터는 언론과의 소통을 중단해왔다. 이어 몇 달 만에 보내온 답변이 똥 모양 이모지 하나다.

이에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는 “만약 당신이 트위터 언론부와 소통하는 기자라면, 여러분은 똥 이모지의 형태로 자동 응답을 받을 것. 실제로 그것이 사실임을 확인했다”면서 “머스크는 보스이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트위터를 운영할 수 있다”고 비꼬았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뉴욕포스트 등 매체 역시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뉴욕포스트는 “머스크는 표현의 자유를 장려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트위터를 인수했다. 그러나 이후 개인 제트기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금지했다”고 모순된 행보를 꼬집었다.머스크는 왜 이런 조처를 한 것인지, 언제까지 자동 응답을 설정할 예정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지난해 5월 트위터 인수와 관련한 파라그 아그라왈 트위터 전 최고경영자(CEO)의 트윗에 똥 이모지로 조롱하는 일론 머스크 CEO. 사진=트위터 캡처
<지난해 5월 트위터 인수와 관련한 파라그 아그라왈 트위터 전 최고경영자(CEO)의 트윗에 똥 이모지로 조롱하는 일론 머스크 CEO. 사진=트위터 캡처>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