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시험인증, 수출 확대 발판] KTL, 거대 해외 망으로 韓 수출기업 지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지난 1966년 정부와 유네스코 합작으로 설립된 국내 유일의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이다. 대한민국 수출을 지원하는 버팀목 역할을 자처하면서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인증 획득 지원과 정부의 '수출 플러스' 정책을 뒷받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출기업이 직면하는 첫 번째 장벽은 정보 부족이다. 수출에 필요한 인증 종류와 획득 절차 등에 미숙하기 때문에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KTL은 지난 2008년 자체 구축한 '해외인증 정보시스템'(Certinfo)에서 국가별로 정확하고 다양한 규제정보를 제공, 무역기술장벽(TBT) 극복을 돕고 있다. 세계 각국 해외인증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내에서 유일한 시스템이다. 국가, 품목, 인증마크 등 150여개국 약 450개 해외인증 정보와 대상 품목 1만2400여건을 간편하게 검색해 확인할 수 있다.

김세종 한국산업기술평가원(KTL) 원장
김세종 한국산업기술평가원(KTL) 원장

이 같은 데이터베이스(DB)와 지난 57년간 축적한 인증 노하우를 기반으로 수요 기업 맞춤형 해외인증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탄소중립과 디지털전환(DX) 흐름에 따라 수출국별로 복잡·정교해진 TBT에 신속히 대응한다. 지난해 해외인증 컨설팅 총 441건을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산업계의 의견이 국제표준에 반영되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등의 국제표준화 활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저탄소 제품 에코 디자인, 무선통신, 전자의료, 환경기술 등 90여개 분야에서 국제표준 수립과정에 참여했다.

KTL은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을 비롯해 중국 베트남, 중남미 기관 등과 협약을 체결하면서 55개국 160여개 해외기관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신속·편리하게 해외 인증을 취득하도록 돕고 있다. 지난해 기준 국제공인 시험성적서(IECEE CB)를 국내 최다 수준인 831건 발행했다.

[K-시험인증, 수출 확대 발판] KTL, 거대 해외 망으로 韓 수출기업 지원

특히 한국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 가전기기 냉매 시험, 2020년 정보조명 분야에서 각각 UL 인증 시험소로 지정받았다. 대용량 냉매를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UL 방폭 인증 시험을 진행하기 위한 장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ESS 분야 표준화 및 화재시험에 대해 UL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미국 수출 기술규제 애로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TL은 최근 다양한 규제가 도입되고 있는 전기차 충전기 산업에서 프랑스 'EV Ready Mark' 시험인증은 물론 일본 차데모(CHAdeMO) 협회에서 국제 인증기관으로 지정됐다. 멕시코, 싱가포르, 인도 등 신흥국가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도 구축 중이다.

일본품질보증기구(JQA)와 협력해 전기전자제품강제인증(PSE)와 S-Mark 자율인증을 원스톱으로 획득하도록 지원한다. 양 기관은 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에서 기술교류회를 개최, 한국 기업들의 일본 수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김세종 KTL 원장(왼쪽)이 지난해 10월 서울 구로구 KTL 분원에서 피짓 랭서리트워티컬 TAI 원장과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기 분야 시험인증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김세종 KTL 원장(왼쪽)이 지난해 10월 서울 구로구 KTL 분원에서 피짓 랭서리트워티컬 TAI 원장과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기 분야 시험인증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최근 KTL은 국제전기기기인증기구(IECEE)로부터 자동제어장치 기능안전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국내 최초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수출에 필요한 가정용 전기기기 기능안전 시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KTL 관계자는 “KTL은 아시아 인증기관 네트워크 포럼(ANF) 의장국으로서 아시아 지역 수출 확대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면서 “해외인증 획득지원 방법 다양화, 인증 획득 기간 단축을 위한 업무지원 범위 확대 등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