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표면에 물 수천억톤 있다…인류, 달 기지 건설에 '한발 더'

달 기지 건설 콘셉트 이미지.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달 기지 건설 콘셉트 이미지.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인류의 달 기지 건설에 희소식이 전해졌다. 달 표면에 물 수천억톤(t)이 있을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27일(현지시간) CNN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과학원대학교(UCAS)를 필두로 한 국제 연구진은 중국 무인 달 탐사선 ‘창어-5호’가 지난 2020년 12월 지구로 가져온 달 토양 샘플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창어-5호 착륙선 상상도. 사진=중국 국가우주국(CNSA)/미 항공우주국(NASA)
창어-5호 착륙선 상상도. 사진=중국 국가우주국(CNSA)/미 항공우주국(NASA)

중국 연구진이 이날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보면, 창어-5호가 가져온 토양 샘플에서는 지름 1mm 미만의 작은 유리 조각 117개가 발견됐다.

 운석 충돌로 형성된 유리 조각 ‘IGB’(impact glass bead)과 관련된 달 표면 물의 순환. 사진=후센 교수 그룹/중국과학원대학교
운석 충돌로 형성된 유리 조각 ‘IGB’(impact glass bead)과 관련된 달 표면 물의 순환. 사진=후센 교수 그룹/중국과학원대학교

‘IGB’(impact glass bead)라고 부르는 유리 조각들은 과거 운석이 달과 충돌하는 순간 생성된 것으로, 이후 태양풍을 맞으면서 물을 함유하게 됐다. 태양풍은 수소 양이온이 대부분인 대전 입자로 구성돼 있으며 달 표면의 산소 원자와 만나면 수산기를 형성한다. 수산기는 물(H₂O) 분자의 주요 성분이다.

연구진은 이 유리 조각이 달 표면 전체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이들이 머금은 물의 양이 최소 3억 톤에서 최대 2700억 톤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물의 추출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유리 조각을 섭씨 100도씨로 가열하기만 하면 된다. 알갱이 하나하나에 담긴 물은 극히 소량이지만, 이를 모으면 수자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국 오픈 대학 소속 마헤쉬 아난드 행성 과학·탐사 교수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달을 탐사할 수 있는 잠재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난징대학의 헤지우 후이 연구원은 “유리 조각이 나온 레골리스(달 표면 먼지)는 달 전체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어디서든 자체적인 식수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달에 물이 있을 가능성은 이전에도 수 차례 제시돼 왔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이미 1990년대 클레멘타인 탐사위성을 통해 달 극지에 있는 분화구에 물이 얼어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2025년께 유인 달 탐사 임무인 ‘아르테미스’를 통해 이를 확인할 계획을 세웠다.

또한 인도의 달 탐사위성 찬드라얀 1호도 2009년 달 지표층에 물이 얇은 층의 형태로 묶여 있을 수 있다는 증거를 보였다.

다만 달 표면의 물이 우주로 손실되는데도 불구하고, 물이 보충되는 방법 등이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달 시료에서 나온 유리조각에서 물을 확인하면서 달의 물 순환에 관한 이론의 몇 가지 공백이 메워졌다.

아울러 이번 물의 채취 방법이 이전에 제시된 것들에 비해 인간이나 로봇이 채취하기에 훨씬 수월하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