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내년도 사업 예산 4조9242억 편성···대국민 서비스 예산 늘렸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행정안전부가 내년도 주요 사업비 규모를 올해보다 늘렸다.

특히 행정·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모바일 주민등록증 확대 등 대국민 서비스와 관련된 예산을 확대했다. 국민 실생활 개선에 집중했다는 해석이다.

행안부는 2024년도 주요 사업비 규모를 4조9242억원으로 전년도 4조8145억원 대비 1097억원(2.3%) 늘려 편성했다고 밝혔다. 전체 예산은 지방교부세 감액분을 반영해 72조945억원으로 평가됐다.

내년도 예산 특징은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부문에 재원을 집중 투입한다는 것이다.

디지털 정부 혁신 예산이 7925억원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조기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 주요 추진할 사업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애니아이디(Any-ID) 확대 △혜택알리미 서비스 구축 △행정서비스 통합플랫폼 구축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다.

간편한 신원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증까지 모바일화를 추진한다. 본인이 원하는 인증방식으로 공공 웹·앱에 손쉽게 로그인할 수 있는 애니아이디 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 이 사업 예산을 올해 129억원에서 내년도 282억원으로 153억원 증액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개인별 상황(실직, 출산 등)에 맞춰 정부 지원을 선제 추천하는 혜택알리미 서비스 구축 예산은 기존 7억원에서 34억원으로 27억원 상향했다.

사이트 한 곳만 접속하면 모든 정부 서비스를 한 번에 신청·조회·처리 가능한 행정서비스 통합플랫폼 구축에는 163억원을 투입한다. 전년도 대비 77억원 늘렸다.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을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해 트래픽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지원 사업 예산은 416억원에서 758억원으로 증액했다.

이 외에 △재난안전 1조8939억원 △지역경제 1조5195억원 △사회통합 7183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하병필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2024년도 예산안은 부문별 예산 사용 내용을 적극 효율화해 꼭 필요한 부문에 예산이 집중되도록 노력했다”며 “특히 국민이 체감 가능한 사업에 재원을 중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