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데이터센터 재해복구 시스템 확대…SDDC 구현

서울시가 데이터센터 재해복구 시스템 환경을 확대 구축한다.

서울시는 최근 약 23억5000만원 규모 '서울특별시 데이터센터 재해복구시스템 환경 구축' 사업을 발주했다. 서울시는 재해복구체계 확대에 올해부터 2027년까지 285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이번 사업은 그 일환이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391개 시스템 중 가장 중요한 1등급 시스템인 세무·세외수입·상수도 시스템에는 재해복구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2등급 시스템 23개도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재해복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청 전경.>

이번 사업은 서초와 상암 데이터센터에 재해복구(DR) 시스템 구축을 위해 소프트웨어정의 데이터센터(SDDC)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SDDC는 데이터센터 내 모든 인프라를 가상화하고 소프트웨어(SW)로 자동 관리하는 차세대 데이터센터다.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를 간소화하고, 빠른 IT 서비스 제공, 가상화 등으로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을 절감시킨다. SDDC는 복잡한 IT 인프라 환경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돕는다.

SDDC는 데이터 이중화에도 효과적이다. 서초와 상암 데이터센터에 서울시 전체 정보시스템의 90%가량이 작동되고 있어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기면 서울시 전체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재해복구시스템이 구축되면 서초와 상암 데이터센터는 이중화로 운영된다. 실시간으로 데이터 동기화가 이뤄진다. 한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서비스 중단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난·재해로 데이터 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데이터센터에서 서비스 운영이 이어지게 하려면 SDDC를 기반으로 한 재해복구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실시간으로 백업 센터로 서비스를 이관하면 서비스 중단이 없기 때문에 대규모 정보시스템 장애에 따른 일상 마비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SK㈜ C&C 판교 화재 이후 데이터센터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재난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서울시는 2027년까지 데이터센터 재난대응 체계 구축과 함께 데이터센터 신축도 계획하고 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