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업 모펀드 도입해 딥테크·기술혁신기업 키워야”

이노비즈·금융투자협회 공동 정책토론회

기술혁신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전용 모펀드 등 특화 투자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노비즈협회와 금융투자협회는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혁신·성장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모험자본 정책 방향 등을 논의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주제 발표를 통해 스케일업 모펀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벤처투자업계 관심이 쏠리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딥테크(기저기술) 기반 기술혁신 기업은 장기투자가 필수인 만큼 기업 성장을 위한 자금 공급 역시 장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접근에서다.

박 연구위원은 만기 기간이 확장된 모펀드를 도입해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스케일업 모펀드 재원은 모펀드 정책 취지와 투자위험을 고려해 정책금융을 앵커 출자자로 하되, 민간재원으로 연기금이나 금융회사 뿐만 아니라 산업자본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면서 “마치 소프트뱅크 비전펀드(SVF) 같은 해외 대형 전략 민간펀드와 같은 방식을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아울러 하위 자펀드는 성장단계별로 전문성을 가진 운용사가 담당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예컨대 창업초기펀드는 액셀러레이터나 기술지주가, 중·후기펀드는 벤처캐피털(VC) 뿐만 아니라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자산운용사가 담당하는 식이다. 자산운용사나 투자은행(IB)이 투자하는 공동투자펀드나 지속펀드 같은 자펀드도 모펀드 내에 별도로 조성해 장기투자를 지원하자는 구상이다.

나수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한국 모험자본시장은 재무적투자자(FI)인 VC가 주도하는데 여기에 전략적투자자(SI)인 일반기업이나 은행, 증권사, 일반 대중의 자금까지 전방위로 유인해 중·후기 단계 민간 주도 투자자금 규모를 크게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스케일업 모펀드 도입 필요성에 공감했다.

정책토론회에서는 기술혁신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현재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를 스케일업 투자에 적합한 방식으로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자료:자본시장연구원
자료:자본시장연구원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