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확장형 하이브리드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포트'서비스 오픈

경북도가 20일 경북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메타포트'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메타포트 정식 서비스를 기념회 AI 이철우 도지사가 인삿말을 하고 있다.
<메타포트 정식 서비스를 기념회 AI 이철우 도지사가 인삿말을 하고 있다.>

메타포트는 경북도가 지난해부터 내년까지 총사업비 30억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메인 공간으로 구성해 가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경북 메타버스 통합 플랫폼이다.

전국 최초 확장형 하이브리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웹3.0 기술을 응용했다. 웹과 앱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며 오픈API를 이용, 확장성을 고려해 만든 플랫폼이다.

메타포트가 제공한 오픈API를 통해 로그인, 아바타 등 연동이 가능해져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학교 등이 보유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처럼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별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지 않고, 웹 페이지에서 이용 가능하다.

메타포트 관련 이미지
<메타포트 관련 이미지>

메타포트에 접속하면 우선 메인 화면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에서 나만의 아바타를 만나게 된다. 마이크와 메시지 입력창 등이 있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미니맵을 이용하면 메타포트 내 각 공간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공항 로봇을 만나면 카트레이싱 게임도 즐길 수 있다. 쇼핑몰에서는 롯데면세점 등 5개 면세점과 지역 고향장터 사이소가 있어 면세품 쇼핑과 다양한 지역특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경북도청에서는 도정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로비에서 E-Book, 영상갤러리와 사진갤러리를 통해 볼 수 있다. 확장현실(XR)체험존으로 이동하면 체험존에 대한 설명을 듣고 현장방문 예약신청이 가능하다. 또 전시실에서는 멋쟁이 캐릭터와 함께 신라시대 와당을 활용한 퍼즐게임을 즐길 수 있다.

메타포트QR코드
<메타포트QR코드>

3단계로 개발되는 메타포트는 지난해 메타버스 공간에 통합신공항을 메인 플랫폼으로 쇼핑몰을 구성했고, 아바타, 채팅·회원가입, 사이트 연동을 위한 오픈API 기능 개발 등 플랫폼 기반을 조성했다. 올해는 경북도청, 컨벤션홀, 지역특산물 마켓 사이소 등 공간디자인을 설계했으며, 모바일 단말기 지원을 위한 앱 기능 등을 개발했다.

내년에는 관광, 교육 서비스 기능 구축 등 이용자 접근성 향상과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콘텐츠를 보완한다. 가상투어 기능을 통해 관광지를 안내하고, 학교·교육용 강의실 연계 기능을 구현해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메타포트는 국내 최초 확장형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웹과 앱 방식을 모두 활용해 개방성과 무한한 확장성을 고려해 개발한 플랫폼”이라면서 “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넘어 글로벌 디지털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지는 데 전략적으로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