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성 AC협회장 “상반기 초기투자협회와 통합해 민간 컨트롤타워 도약”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가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와 통합해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AC) 업계 대표 기관으로 거듭난다. AC의 투자 활성화, 보육 확대, 글로벌 협력 등 정책 마련을 위해 분과위원회도 운영한다.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AC 인증, 인력양성, 개인투자조합 관리 업무이관도 추진한다.

전화성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장이 7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분과 운영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
전화성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장이 7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분과 운영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

전화성 AC협회장은 7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점 업무 방향과 분과별 운영계획 등을 밝혔다. AC협회 지난달 19일 전 회장을 비롯해 24명의 4대 임원단을 출범했다.

전 회장은 초기투자 분야 민간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겠다고 강조했다. 전 회장은 이날 이용관 초기투자기관협회장과 통합합의서에 서명했다. 그동안 초기투자 영역은 등록 AC 중심의 AC협회와 AC·창조경제혁신센터·기술지주회사·기업형 벤처캐피털(CVC)까지 아우르는 초기투자기관협회로 양분돼 있었다. 때문에 모태펀드 확대, 위탁·용역 중심 정부 창업지원 사업의 일임형 전환 등 AC 업계 건의사항이 수년째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 회장은 “3개월 내에 행정절차를 비롯한 통합 작업을 마무리하겠다”면서 “통합을 기점으로 업계가 진일보할 수 있는 전략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용관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장(왼쪽)과 전화성 한국엑셀러레이터협회장이 통합 합의서에 서명하고 기념촬영했다.(사진=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
이용관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장(왼쪽)과 전화성 한국엑셀러레이터협회장이 통합 합의서에 서명하고 기념촬영했다.(사진=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

AC협회는 투자 활성화·보육확대·글로벌 협력·지역 활성화·협회 통합 등 5개 부문 10개 분과 위원회를 구성했다. 투자 활성화 부문은 정부 부처별 초기투자 펀드 현황을 조사하고 법·제도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과 창업 3년 이하 초기창업기업 대상 금융지원 확대도 모색한다.

보육확대 부문은 대기업·중견기업의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내 AC 역할 확대를 목표로 삼았다. 글로벌 협력 부문은 4월 한중벤처투자포럼 개최를 비롯해 북미·유럽·아시아·아프리카 등과 교류 행사를 마련한다.

전 회장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담당하고 있는 AC 검증·관리, 전문인력 자격인증 업무와 한국엔젤투자협회가 담당하는 개인투자조합 관리 업무를 통합협회가 수행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현재 창진원의 AC 등록·감독 담당 인력이 한 명에 불과해 형식적인 승인이 이뤄졌다는 판단에서다. 때문에 해마다 단 한 건도 투자하지 않은 AC씩 약 40% 발생했다. 개인투자조합 관리 업무는 AC가 조합 절반 이상을 개인투자조합으로 결성한 만큼 협회가 현황 등을 파악해야 필요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회장은 “어제(6일) 중기부에 AC 인증·관리, 개인투자조합 관리 업무의 통합 협회 이관을 건의했다”면서 “400개가 넘는 AC 업계가 질적으로 성장하고 글로벌로 진출하기 위해선 전문성을 보유한 민간영역에서 주요업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