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생태계, 새 판 짜자]〈중〉SaaS 등으로 디지털 영토 넓혀야

SaaS 시장 성장 추이
SaaS 시장 성장 추이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SaaS 시장 성장 추이

디지털 경제 시대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SW)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적극 육성, 발굴해서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물 안이 아닌 세계를 대상으로 디지털 영토를 넓혀 경쟁해야 SW 경쟁력이 높아지고, 국가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SaaS 비중은 여전히 낮고, 생태계 구축에 애로를 겪고 있다. 공공에서 SaaS 이용 의무화 같은 강제성 있는 방안을 추진해서 SaaS를 적극 육성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내 SW서 SaaS 비중 22%에 불과

[사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제공]
[사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제공]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에 따르면 국내 SaaS 시장 규모는 지난 2022년 1조7400억원에서 오는 2025년 2조5500억원으로 연평균 14.1%씩 늘어나, 상승률이 5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전체 SW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8%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SaaS 시장 성장률이 높은 것은 아니다. 글로벌 시장 성장률과 비교해서는 뒤처진다. 글로벌 SaaS 시장은 지난 2022년 452조원에서 오는 2025년 723.8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평균 상승률은 16%로 추산됐다. 우리나라와 연평균 상승률 격차는 1.9%포인트에 달한다.

주된 원인으로는 활성화되지 못한 SaaS 생태계가 꼽힌다. 공급자와 수요자 등 SaaS 생태계가 제대로 구성돼 있지 못하다보니 시장 성장률과 규모에서 상대가 안 된다는 것이다.

실제 KOSA에 따르면 SW 기업 가운데 향후 SaaS 서비스로 전환·개발하겠다고 밝힌 기업은 과반에 못 미치는 34%에 불과했다.

SW 업체 관계자는 “SaaS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한다 해도 개발 투자비를 회수할지 의문”이라면서 “국내 SaaS 시장이 커지기 위해서는 안정적 수요처가 확보되거나 수익성이 담보되는 등 SaaS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공공 SaaS 이용 의무화 등 강력한 정책 필요

SaaS를 통한 해외 SW 시장 진출이 중요한 것은 국내 SW 산업, 나아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SW 기업이 국내에 안주해서는 해외에서 더욱 많은 수익을 올려 서비스 투자를 확대하거나 높아진 기술력을 토대로 국가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선순환 체계를 기대하기 힘들다.

SW 업계에서는 공공 부문에서라도 SaaS 이용을 의무화해서 도입률을 높여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KOSA 관계자는 “공공 부문 내 SaaS 도입 강제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능정보화기본법이나 특별법 등에 '행정부처 내 시스템의 경우 매년 10% 이상 SaaS 도입' 같은 내용을 명시하는 것도 방법”이라면서 “공공시스템 도입 과정에서 SaaS 방식을 채택할 경우 해당 부처 또는 기관 경영평가 시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근거 조항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방식으로 국내 SaaS 도입이 확산할 경우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더욱 촉진하고,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SW 도입 유연성과 함께 국민 편의까지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SW 업계 관계자는 “클라우드와 SaaS가 확산하면 기존 산업과 신기술 간에 결합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라면서 “기업 생산성과 함께 우리나라 ICT 기술 경쟁력이 높아지고, 대국민 서비스 편의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도 앞당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