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S25에 '제미나이 나노2' 적용…AP SW 인력 2배 확대

조철민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모바일AP SW개발팀장 상무
조철민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모바일AP SW개발팀장 상무

삼성전자가 내년에 출시하는 '갤럭시S25'에 구글의 차세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나노' 버전2를 적용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경쟁력 강화를 위해 AP 소프트웨어(SW) 개발자도 2배 늘린다.

조철민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상무(모바일AP SW개발팀장)는 17일 열린 인공지능반도체포럼에 참석해 “멀티모달을 지원하는 제미나이 나노 버전2를 온디바이스 AI로 어떻게 구현할지 구글과 논의를 시작했다”며 “갤럭시S25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글 AI 언어모델 제미나이는 △제미나이 울트라 △제미나이 프로 △제미나이 나노로 나뉜다. 제미나이 나노는 온디바이스 AI에 최적화한 모델이다. 삼성전자는 구글과 협업해 갤럭시S24에서 제미나이 나노 버전1 기반으로 메세지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미나이 나노 버전2는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멀티모달 기능을 지원한다.

조 상무는 AP 경쟁력 강화를 위해 AP SW 엔지니어 인력도 확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온디바이스 AI로 인해 AP SW 개발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며 “SW 인력을 현재 200여명 수준에서 2~3년 내 2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뿐 아니라 인도를 비롯해 글로벌 연구소를 통해 인력을 충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AP SW 엔지니어는 초기 AP 설계 단계에서부터 하드웨어(HW) 엔지니어와 협업해 온디바이스AI 구동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를 만들도록 돕는다. 또 새롭게 개발되는 여러 AI 모델이 AP에서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조 상무는 “갤럭시S25에서 더 나은 AI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고, 신경망처리장치(NPU)가 없는 갤럭시S24 이전 모델에서도 SW 기술을 통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NPU 역할을 하며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