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첫 재무장관회의…원엔 절하 공감대·RISE 통해 中과잉생산에 대응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가운데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왼쪽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 2024.4.17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가운데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왼쪽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 2024.4.17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한미일 재무장관이 원화와 엔화 가치의 하락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글로벌 공급망 강화 파트너십(RISE)'을 통해 중국의 과잉생산에 대응한다는 입장도 전했다. 대북·대러 제재 등 기존 3국 정상 간 논의된 의제도 지속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은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3개국 재무장관 공동선언문을 최초로 채택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로 3국 재무장관들은 여기에 그간 변화된 경제·금융 상황을 논의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17개월 만에 장중 1400원대로, 엔/달러 환율은 34년 만에 154엔대로 진입했다.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과 중동 불안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3국 재무장관은 최근 원화·엔화의 급격한 절하가 펀더멘털과 괴리돼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한일 재무장관은 양자 면담에서 외환시장 변동성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공동 구두 개입했고, 미국은 공동선언문에 “최근 엔화와 원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심각한 우려를 인지하였다”는 어구를 담았다.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 회의시작에 앞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환담하고 있다. 2024.4.17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 회의시작에 앞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환담하고 있다. 2024.4.17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미국은 명시적으로 중국을 언급하진 않았으나, 사실상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를 의제화했다.

3국 재무장관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공급망 취약성과 핵심 부문의 경제적 강압과 과잉생산 등 다른 국가의 비시장 경제 관행이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면서 “공급망 탄력성 강화를 위한 자금 조달에 대한 정상들의 합의를 재확인했으며 이를 위해 글로벌 공급망 강화 파트너십(RISE)을 통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ISE는 청정에너지 공급망 전 과정에서 중·저소득국 역할을 확대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공급망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작년 11월 주요 7개국(G7)과 세계은행(WB) 주도로 출범한 협력체다.

한미일 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로 대북·대러 제재 논의도 이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한의 무기 개발에 대응해 각국의 제재 상황을 공유하고 각자 제재 수단을 활용해 공조할 것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공동선언문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전쟁과 북한의 무기 개발에 함께 대응하여 각자의 독자적 제재 수단을 활용하고 조정할 것을 확인한다”면서 “우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반하는 러북 상호간 무기 수출 및 수입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러한 활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