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가명정보 이해도 향상 위한 가명정보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KISA, 가명정보 이해도 향상 위한 가명정보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함께 가명정보 제도 이해 및 활용 역량 강화 등 이용 저변 확산을 위한 연중 단계별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KISA는 2020년 8월 데이터 3법 시행 후 가명정보 전문 인력 양성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가명정보 실무자 등에게 단계별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 과정은 가명정보 지원플랫폼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가명정보 교육과정은 단계별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 과정으로 구성돼 있다. 세부적으로는 △가명정보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본 과정 △가명정보 처리 역량 강화를 위한 실무 과정 △가명정보 처리 적정성, 반출 심사 등 검증 전문 과정이 있다. 정보 처리 예비인력 및 활용 수요층 발굴을 위해 대학,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분기별로 오프라인 일정에 맞추어 온라인 교육을 진행했지만 올해는 온라인 과정을 별도로 개설, 언제 어디서나 상시 학습이 가능하다. 아울러 개정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을 소개하는 가명정보 행정·공공기관 과정을 온라인으로 신설했다.

이와 함께 기본 과정은 사이버 훈련장을 이용한 가명정보 처리 실습 교육도 제공하여 가명처리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돕는다. 또한 5월 중 가명정보 활용 기획 관련 내용을 추가 제공, 가명정보 활용 사례 발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가명정보 활용에 필요한 지식 전달의 기회를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심동욱 KISA 데이터안전활용단장은 “AI 등 다양한 융복합 산업에서의 데이터 이용 수요가 급증하는 환경 변화에 있어, 가명정보 활용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함께 관련 실무 인력 양성은 중요하다”면서 “데이터 활용 가치를 높이고, 가명정보를 통해 데이터가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