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3〉약을 10개 이상 한 번에 먹는 어르신들…

    다제약물 복용자, 특히 10개 이상의 약물을 상시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이 130만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의 어르신들 중 절반 정도는 1개 이상의 약물을 정기적으로 복용하고 있으며, 이 중 약 65%가 5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 중이라고 한다. 정부에서는 의약품

    2025-04-02 16:00
  • 기사 썸네일
    [김태섭의 M&A인사이트] 〈11〉M&A손자병법

    오래된 병법서이자 싸움의 성전이라는 '손자병법'은 이기는 법을 가르쳐준다. 차도살인(借刀殺人: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해치다), 미인계(美人計:미녀를 바쳐 음욕으로 유혹한다), 주위상(走爲上:도망치는 것도 전략이다) 등이 익숙하고, 재미났던 것은 상옥추제(上屋抽梯)다.

    2025-04-02 16:00
  • 기사 썸네일
    [ET시론]AI 시대, K콘텐츠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빠르다. 놀랍다. 두렵지만 피할 수 없다. 요즘 인공지능(AI)이 K콘텐츠에 파고드는 형세가 그렇다. AI 기술과 콘텐츠가 빠르게 만나고 있다. 영상, 게임, 음악, 웹툰 등 콘텐츠의 제작, 유통, 그리고 소비 전 과정에 AI가 접목되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

    2025-04-02 16:00
  • 기사 썸네일
    [ET대학포럼] 〈215〉선도형 R&D 지원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필요조건

    트럼프 제2기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국가 간 기술주권 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동맹 중심에서 개별국 기술자립 경쟁구도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서 국가혁신시스템의 근본적 재편이 요구되며, 선도형 연구개발(R&D)로의 전환을 통해 전

    2025-04-02 16:00
  • 기사 썸네일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49〉챗GPT의 잘못된 정보 생성은 개인정보를 침해하는가

    챗GPT 등의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특정인을 검색했는데, 생성형 AI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했다면, 생성형 AI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한 법적 책임을 지는가? (잘못된 정보의 생성은 허위사실의 공표이므로 형법상 명예훼손

    2025-04-01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 한국 미술시장 변화와 컬렉션 전략

    최근 우리나라 아트마켓은 지속적인 변화와 조정을 거치면서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서울에는 약 8만 2000여명의 관람객이 방문했으며 주요 작품 판매가 이뤄지며 뜨거운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갤러리들도 앞다퉈 서울에 지사를 설립중이다.

    2025-04-01 11:10
  • 기사 썸네일
    [이상직 변호사의 창의와 혁신] 〈57〉기술혁신을 위한 언어 사용법(중)

    하늘 높이 뭉게뭉게 무리를 지은 수증기를 모두 '구름'이라 부른다면 제대로 이해한 것일까. 위치, 형태와 농도가 제각각이다. 권적운, 고적운, 층적운, 적란운 등 특징에 따라 다양한 언어로 불러보자. 바람, 비와의 관계, 폭우, 폭염, 인공강우, 재난대응 등 기술탐구의

    2025-03-31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언스온고지신]과학과 기술, 두 날개 균형 잡는 '기술사업화'

    과학기술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총성 없는 전쟁이 한창이다. 국가적인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지금, 4월 과학의 달을 맞이해 우리의 혁신 생태계가 건강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자연을 탐구하고 그 원리를 파악하는 과학(

    2025-03-31 15:00
  • 기사 썸네일
    [관망경]K콘텐츠 글로벌 도약, 거버넌스부터 재설계해야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각각 콘텐츠 재정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분산된 구조 속에서 예산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얼마나 더 필요한지, 더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지 점검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K콘텐츠 위기 진단에 대한 한 미

    2025-03-31 14:15
  • 기사 썸네일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42〉 [AC협회장 주간록52] 디지털 금융 글로벌 허브 전략 필요성

    대한민국의 강력한 자산 취득 및 처분에 대한 규제는 외환시장 접근성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한국은 디지털 금융의 세계적 흐름에서 소외될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

    2025-03-30 17:00
  • 기사 썸네일
    [기고]케이블TV 도입 30주년,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한 정책 개선 필요

    2025년은 케이블TV가 국내에 도입된 지 30주년이 되는 해다. 이는 국내에 유료방송이 도입된 지 30년이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케이블TV의 성장은 국내 방송산업의 성장과 궤를 같이해 왔다. 케이블TV가 도입되면서 난시청으로 인해 충분한 광고 커버리지를 확보하지

    2025-03-30 16:00
  • 기사 썸네일
    [ET톡]'제2의 토스', 핀테크 유니콘 나오려면

    2018년 비바리퍼블리카(토스)가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된 이후 약 7년이 지나도록 대를 이을 유니콘이 나오지 않고 있다. 글로벌 흐름은 다르다. 최근 5년간 전 세계 핀테크 유니콘은 연평균 41.6% 성장해 유니콘 전체 평균 성장률(33.4%)을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2025-03-30 13:21
  • 기사 썸네일
    [GEF 스타트업 이야기] 〈60〉민초는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지만, 분별의 뿌리로 버텨왔다

    조선이란 나라는 어리석은 왕과 부패한 유생들이 지배해온 나라지만, 저 나라 백성들이 제일 골칫거리야. 받은 것도 없으면서 국난이 있을 때마다 이상한 힘을 발휘한단 말이지. - 영화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는 조선을 이렇게 평가한다. 수치스럽지만 인정할 수밖에 없는

    2025-03-27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 데이터 알고리즘과 '내로우캐스트' 시대의 그림자

    '사피엔스' 저자 유발 하라리는 인터넷 시대의 아이러니를 날카롭게 지적했다. 오늘날 사회는 인류역사상 가장 진보된 의사소통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서로 간의 소통과 이해는 가장 어려워졌다라는 점이다. 이러한 모순과 역설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대중화

    2025-03-27 16:00
  • 기사 썸네일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7〉젠슨 황 “AI 비즈니스의 미래 'AI 팩토리'에서 찾아라”

    필자는 최근 미국 산호세에서 개최된 엔비디아 연례 개발자회의(GTC 2025)에 직접 참석했다. 다양한 인공지능(AI) 강좌가 열려 학습 열기가 뜨거웠다. 전시장에는 기술의 한계를 넘어선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가 넘쳐났다. 하이라이트는 '칩의 제왕' 젠슨 황의 기조연설.

    2025-03-27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