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기고] AI시대 한국핀테크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으로 탄생한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술 발전은 금융의 혁신을 가속화한다. 디지털환경을 구축해 산업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전 세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디지털 금융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디지털 기반 산업은 최종적으로 금융의 역할을

    2025-03-18 16:00
  • 기사 썸네일
    [미래포럼] RISE사업의 성공을 위한 IT환경에 대한 고찰

    최근 대학 발전 전략에는 '향후 몇 년 내 글로벌 톱(Top)100 대학에 진입하겠다'는 포부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행정과 학생(People), 예산(Finance), 구현 기술(Technology) 등이 필수 요소로 꼽힌다. 특히, 해외 유학생이 온라인

    2025-03-18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 현대 데이터센터 구축의 3가지 핵심 요소

    데이터센터는 짧은 기간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원시적이고 투박하며 거대한 기계였으나, 정보기술(IT) 인프라가 데스크톱에 통합되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인터넷의 등장과 고성능컴퓨팅(HPC), 엔터프라이즈 기술, 클라우드 서비스 등 혁신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3〉디지털 고객매거진, 새로운 플랫폼에는 새로운 방식으로

    기업이나 기관의 '고객매거진'은 브랜드 미디어(Brand Media)의 일환으로 기업(관)이 목표 고객과 소통하고 브랜드 인지도, 신뢰도, 충성도를 강화하기 위해 활용하는 전통적이고도 강력한 매체다. 일반적으로 '사외보'라고 불리던 고객매거진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웹진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이상직 변호사의 창의와 혁신] 〈56〉기술혁신을 위한 언어 사용법 (상)

    컴퓨터,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로 무장한 산업과 시장에선 연일 외래어, 축약어 등 새로운 언어가 생성되고 낡은 언어는 소멸한다. 언어는 기술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의견을 들어보자. 언어는 세상에 존재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ET톡]광장에 나선 과학기술계

    흔히들 '정치와 과학은 분리돼야 한다'고 말한다. 정치권은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과학기술계는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정부도 과거 '원자력기술 홀대'를 지적하긴 했지만 대체로 과기계 지원과 동시에

    2025-03-17 13:29
  • 기사 썸네일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40〉 [AC협회장 주간록50] 국내 액셀러레이터 업계 쇄신 방향

    지난해 액셀러레이터 등록말소 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올해에도 말소 건수가 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기준 AC 말소 건수는 34건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3건이 증가했다. 동기간 액셀러레이터 신규 등록 건수는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2023년 7

    2025-03-16 17:00
  • 기사 썸네일
    [ET시선]기업시민 경영과 프리미엄 브랜드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의 국내 사업행태와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취재하며 '기업하는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기업이 사업을 영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기업의 존재 목적은 이윤 창출이다. 지속적 이윤 창출이가능하려면 '좋은 제품'을 만들어 '잘 팔리게' 해야 한다.

    2025-03-16 16:00
  • 기사 썸네일
    [이진호의 퓨처로그] R와 S 사이

    많은 사람들이 기록하거나, 기억하고 있는 명언 중에 'B와 D 사이 C'가 있을 게다. 인간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탄생(Birth)와 죽음(Death) 사이에 C가 있다는 아주 단순한 영어 알파벳 경구다. 여기서 C는 선택(Choice)이다. 인생 전과정 중에

    2025-03-16 16:00
  • 기사 썸네일
    [GEF 스타트업 이야기] 〈59〉이기심과 말잔치가 만들어낸 세상 속 '나'

    등장인물만 바뀔 뿐, 어디서든 똑같은 현상이 반복된다. 가족이든, 회사든, 국가든, 세계적 무대든 인간이 있는 곳이라면 그 안에 이기심은 반드시 존재한다. 차이는 단지 그 파급력뿐이다. 인간의 내면적 이기심은 언제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미국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2025-03-13 16:00
  • 기사 썸네일
    [ET시론]양자혁명, 우리가 대비해야 할 미래 기술

    전 세계 각국은 미래 게임 체인저 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정보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은 양자역학 원리 기반으로 기존 정보 기술 한계를 뛰어넘어 혁신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기술로 주목받는다. 정보 처리, 통신, 보안, 국방, 센싱 등

    2025-03-13 16:00
  • 기사 썸네일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6〉산업경계 허무는 빅테크···'AI 신약' 패권 노린다

    산업의 지형을 뒤흔드는 혁신은 때때로 예상치 못한 곳에서 시작된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기존 비즈니스 영역을 파괴하는 혁신의 주역이 되고 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아마존, 애플, 오픈AI 같은 거대 기술기업들이 의료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2025-03-13 16:00
  • 기사 썸네일
    [황보현우의 AI시대] 〈27〉똑똑한 비서와 에이전틱 AI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지난 2월 5~30분 동안 자동으로 웹사이트를 탐색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인 딥리서치(Deep Research)를 발표했다. 이어 기존 생성형 AI 모델인 GPT-4와 추론 AI(o3-mini, o3-mini-high,

    2025-03-13 16:00
  • 기사 썸네일
    [데스크라인] 변하지 않으면 잡아먹힌다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은 2018년 자신의 저서 '초격차'에서 변화와 혁신의 당위성을 애벌레론으로 설파했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번데기로, 번데기가 나비로 변신하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뜻하고 편안한 곳에서 맛있는 잎사귀만 갉아먹으며 변신을 거부하

    2025-03-13 13:28
  • 기사 썸네일
    [ET시론]2050 탄소중립: 탄녹위 2기의 도전과 과제

    2024년은 인류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로 기록됐다. 산업화 이전 대비 세계 평균 기온이 1.55℃ 상승하고, 세계 곳곳에서 기후 재해가 속출했다. 우리나라 역시 기록적인 폭염과 집중호우를 경험하며,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절감했다. 이에 탄소경쟁력이 국가 경제와 산업의

    2025-03-12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