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난 28일 제12회 전체회의를 열고, 메타(Meta Platforms, Inc.)의 '유명인 사칭광고 및 계정 차단 서비스'에 대한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를 심의·의결했다. 메타는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한 '유명인 사칭광고 및 계정 차단 서비스'의 한
-
개보위, 메타와 '유명인 사칭광고 차단 서비스' 개인정보 보호방안 마련2025-05-29 12:00
-
'고수익 단기 알바' 피싱 문자 급증…안랩, 1분기 보고서 발표
올해 1분기 단기 알바 구인을 위장한 피싱 문자가 기승을 부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 확산, 구직난 등으로 부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점을 노려 단순 반복 업무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사람들을 꾀었다. 안랩이 올해 1분기 자체 구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기
2025-04-23 14:40 -
안랩, “증권사 사칭 앱 주의…출처 미상 링크서 앱 다운 말아야”
안랩이 최근 국내외 유명 증권사를 사칭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유포된 정황을 발견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사례에서 공격자는 유명 증권사의 모바일 투자 플랫폼(MTS)으로 위장한 악성 앱을 제작해 유포했다. 이 앱을 실행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자
2025-03-20 13:13 -
“개인정보위 사칭 가짜 공문 주의하세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명의를 도용한 가짜 공문을 이용해 개인정보·현금을 탈취하는 사기가 성행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개인정보위는 최근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행위 조사통지서'라는 제목의 위조 공문을 제시하며 개인정보 유출 손해보상금 지급 명목으로 신분증 등 개인정
2025-03-06 09:25 -
“체납세액 징수합니다”…국세청 사칭 피싱 문자·메일 주의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최근 '체납세액 징수' 등을 명목으로 국세청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문자(스미싱)와 메일이 대량 유포되고 있다며 국민과 기업·기관 관계자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사칭 문자와 메일을 클릭할 경우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거
2024-11-22 16:11 -
대형 기획사·정부기관 사칭 피싱 주의보
기업과 정부기관을 사칭한 피싱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국내 대형 기획사를 사칭한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정부기관을 사칭한 전화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와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에
2024-10-21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