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1위국가라더니....IPv6 이용률 부탄에도 뒤졌다

English Translati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주요 국가 IPv6 이용률

우리나라 차세대 인터넷주소(IPv6) 이용률이 국내총생산(GDP) 161위에 불과한 부탄에도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Pv4가 고갈돼 서비스 제약이 눈앞에 닥쳤지만 정부와 기업 모두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중소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와 콘텐츠서비스제공업체(CSP) 전환을 유도할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

13일 네트워크전문업체 시스코와 아카마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IPv6 이용률은 0.6%로 세계 33위로 조사됐다. 이용자 수는 약 25만3000명이다. 종전 0.01%에서 다음카카오와 SK텔레콤이 모바일 망에 IPv6를 상용화한 이후 0.59%P 상승했다. 전체 인터넷 이용자를 4000만명으로 가정하면 극소수만 IPv6를 사용한다.

우리나라 바로 앞자리인 32위는 부탄이 차지했다. 부탄 IPv6 이용률은 브라질과 같은 0.7%다. 부탄은 인구가 75만명에 불과하고 뒤늦게 인터넷 망을 설치하면서 상대적으로 IPv6 이용률 높아졌다.

하지만 이용률 0.9%로 28위를 차지한 중국을 보면 인구와 IPv6 이용률은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풀이됐다. 미국은 IPv4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음에도 IPv6 이용률이 13.2%(5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내놓은 ‘2014년 국내 IPv6 준비도 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IPv6 준비도는 가입자망 68.9%, 백본망 94.7%로 상당히 높았다. 준비도는 콘텐츠와 서비스만 있으면 언제든 IPv6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높은 준비도에 비해 IPv6 이용률이 저조한 것은 중소 ISP와 CSP가 IPv6 전환을 주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 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소 ISP 협력이 필수며 CSP가 해당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IPv6 전환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추가수익 부재 등으로 도입을 꺼리고 있다.

인터넷 주소 부족으로 인한 심각성은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인터넷관리기구(ICANN)는 2011년 2월 IPv4 고갈을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신규 배정이 아닌 기존 주소를 거래하거나 유동 IP 등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소 문제를 해결한다. 세계 곳곳에서 할당 제한 등 인터넷 주소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 주소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기업은 웹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고 싶어도 주소 할당을 받지 못해 제약을 받게 된다. 이는 곧 고객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무엇보다 한 사물에 한 인터넷 주소를 할당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대비하기가 어려워진다. 관련 산업 성장도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지난달 ‘제3차 정책해우소’에서 IPv6 전환 계획을 논의했다. IPv6 지원 장비 도입 시 세제감면 등 현재 정책 외에도 공공 분야가 먼저 IPv6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공공 IPv6 전환을 위해서는 이를 지원할 보안 장비 개발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태성 충북대 경영정보학과 교수는 “중소 ISP와 CSP는 전문 인력이 없고 IPv6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인데다 대형 ISP는 이익이 담보되지 않으면 전환을 시도하지 않는다”며 “공공기관에서 먼저 전환을 추진하고 입찰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의 강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국가 IPv6 이용률(2015년 4월13일 현재)/자료:아카마이·시스코>


주요 국가 IPv6 이용률(2015년 4월13일 현재)/자료:아카마이·시스코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