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개 기관 통신망 통합하는 '국가융합망' 보안 논란 확산

47개 정부기관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는 '국가융합망'을 둘러싸고 보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추진단이 제시한 복합통신망(왼쪽)과 전송망 방식으로 의견이 맞서고 있다.
47개 정부기관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는 '국가융합망'을 둘러싸고 보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추진단이 제시한 복합통신망(왼쪽)과 전송망 방식으로 의견이 맞서고 있다.

47개 정부기관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는 '국가융합망' 보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통신업계는 정부가 정보전략계획(ISP)에서 제시한 '복합통신망' 방식은 모든 기관 핵심 정보가 한 번에 유출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반면에 미래 확장성과 모바일 환경 등을 고려하면 복합통신망이 필수라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옛 정부통합전산센터) 국가융합망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상반기 ISP를 통해 전송망과 교환망을 결합한 복합통신망으로 국가융합망을 설계했다. 교환망에 IP/멀티프로토콜라벨스위칭(IP/MPLS) 기반 L3 가상사설망(VPN)을, 일부 전송망에 MPLS-TP(전송 프로파일)를 사용한다. MPLS는 통신 라우팅 기술, IP/MPLS는 IP 기능을 갖춘 MPLS다.

엔지니어와 교수 등 통신 전문가는 IP-MPLS 기반 L3 VPN은 효율성이 높은 반면, 품질이 낮고 보안에 취약해 국가융합망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IP-MPLS가 하나의 라우터에 여러 VPN을 수용, 한번 뚫리면 전체 VPN이 뚫린다는 설명이다. IP-MPLS와 L3의 보안 취약성은 네트워크 분야에서 꾸준히 제기되는 이슈다.

IP-MPLS 장비가 외산 일색이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자칫 백도어를 통해 정부 핵심 정보가 다른 나라 혹은 기업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다. 청와대를 비롯한 47개 정부기관 통신망이 모이기 때문에 피해가 심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 전문가는 “대통령과 각 부처 장관 업무 내용을 다른 나라에서 매일 훔쳐본다는 것은 끔찍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IP-MPLS 기반 복합망 방식을 도입하면 최근 국방부 정보유출과는 비교도 안 될 보안 사고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추진단은 ISP에서 '진화한(Enhanced) L3 VPN' 기반 복합통신망을 제시했지만, IP-MPLS를 거론한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과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통신환경에 대비하려면 IP 기반 통신방식이 필요한 것은 맞다는 입장이다.

정대선 국가융합망 추진단장은 “아직 IP-MPLS로 확정을 지은 것은 아니다”라면서 “IP 기반 통신기술은 IP 간 충돌이 적고, 화상회의나 인터넷 전화 등 공동으로 다룰 수 있는 업무가 많은 등 장점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보안 역시 우려할 사항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현재 각 기관 보안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고, 추가로 국가융합망을 위한 보안 관제센터를 설립하기 때문에 오히려 보안이 더 강화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복합통신망 방식을 반대하는 전문가는 IP-MPLS L3 VPN은 태생적으로 보안 취약성 해결이 어렵다며 MPLS-TP 기반 L2 VPN을 쓰는 전송망 방식을 제시했다. 복합통신망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으며 사업 예산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추진단은 이달 20일까지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반대가 거세 예타 신청 이후에도 논란이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문제가 제기되고 우려가 있다면 철저한 검토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국가융합망 전체 구성도
국가융합망 전체 구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