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이차전지발 자원전쟁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코발트 가격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공급 부족 현상 심화 속에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국인 콩고민주공화국이 광산업체에 부과하는 세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배터리업계는 당장 원재료 수급과 수익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부터 서둘러 자원개발팀을 꾸리고 원재료 조달과 광산 투자를 시도하고 있지만 단시간에 성과를 얻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자원 투자는 결과를 내기까지 몇 년이 걸린다. 성공을 장담하기도 어렵다. 단기 성과를 중시하는 한국 기업과는 잘 맞지 않는 사업이다. 제한된 임기 안에 성과를 내야 하는 전문경영인이 투자를 결정하기도 쉽지 않다.

장기 안목과 대승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지난 정부의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다가 손실을 입은 탓에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 그러는 사이 이미 해외 주요 광산을 중국이 싹쓸이하다시피 했다.

정부 자원개발팀이 직접 해외 광산을 물색하고 수요 기업과 연결시켜 주는 에이전시 역할을 해 줄 수 있다면 최상이다. 기업은 직접 광산 개발 외에 파트너십이나 선주문, 지분 투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원 개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현재처럼 배터리 업체가 모든 리스크를 지는 구조도 불공평하다. 원재료 가격은 계속 오르는데 수요자인 자동차 제조사가 단가 인하만 고집하면 곤란하다. 일본 토요타자동차나 중국 창청자동차처럼 자동차 제조사가 직접 광산 업체에 투자, 원재료 안정 확보를 도모할 수도 있다.

결국 정부의 적극 주도 아래 광산업체와 배터리 제조사, 전기자동차 제조사가 하나의 파트너로 움직이는 큰 그림이 필요하다.

광산 투자와 별도로 폐전지를 회수해 코발트, 니켈, 리튬 등 소재를 뽑아내는 리사이클링 사업으로 자원 개발 방법을 다각화할 수도 있다. 전기차 시대 개화에 맞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자동차 제조사, 배터리 제조사, 소재 업체가 참여하는 도시 광산 사업을 대안으로 삼을 수도 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