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과학문화 대중화를 기치로 화려하게 출범한 민·관 합동 프로젝트 사이언스코리아 운동본부의 활동이 지지부진하다.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은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선진과학문화사회를 만들기 위해 역점 사업으로 추진해 왔다.
정부는 지난해 4월 21일 과학의 날을 맞아 고건 대통령 권한대행, 오명 과기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사이언스코리아 운동을 대대적으로 선포하고 강신호 전경련 회장, 정운찬 서울대 총장, 윤송이 SK텔레콤 상무 등 3명의 공동의장과 상의회장, KT 사장, 포스코 사장, 여성단체협의회장 등 각계 명사 20여 명으로 구성된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본부를 발족한 바 있다.
그러나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본부는 발족 후 지난해 9월 단 한 차례 회의를 한 것 외에 지금까지 공식 모임을 가진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본부 출범 후 곧바로 실질적인 지원 기능을 담당할 사무국을 전경련에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논의가 흐지부지 되면서 결국 없었던 일이 됐다.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을 실질적으로 수행해 온 한국과학문화재단 측은 “지난해 9월 공동대표단 회의에서 사무국 설치를 논의했으나 전경련이 난색을 표명 결국 재단에서 사무국 역할을 대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본부가 추진하기로 했던 ‘과학이벤트’, ‘과학흥미유발프로그램’, ‘국민참여프로그램’, ‘지역주민체험프로그램’, ‘네트워크구축 프로그램’ 등도 과학문화재단의 기존 사업으로 흡수돼 유명무실화됐다.
황준석 과기부 문화과장은 “사이언스코리아의 전국적인 확산을 위해 지명도가 높은 명사들을 대표로 위촉했으나 민간 주도로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활성화가 잘 되지 않았다”며 “과학문화도시 선정 사업이나 생활과학교실 등 기존 사업에 내실화를 꾀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조윤아기자@전자신문, fo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