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을 두고 `자구노력`부터 먼저 하라는 지적이 강하게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가 15일 오후 2시부터 목동 방송회관에서 개최한 `TV방송수신료 조정(안) 의견수렴을 위한 토론회`에 참가한 언론학계, 광고·경영전문가 등은 KBS 수신료 인상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KBS는 수신료 현실화를 위한 자구 노력으로 `인력감축과 사업경비 절감`을 내세웠다. 윤준호 KBS 수신료현실화추진단장은 “2018년까지 161명의 인력을 감축하고 성과 중심의 인사제도 운영으로 생산성을 강화하겠다”며 “비핵심 사업 축소 등으로 사업경비를 매년 5% 수준으로 절감해 5년간 2183억원을 절감, 부동산 매각 등으로 5년간 1883억원을 마련해 차입금을 상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KBS는 2010년에 쇄신안을 내놓고 인력을 감축한다고 했는데 하위직은 9.7% 줄어든 반면 고위직은 7.6% 증가하는 기형적 현상을 보였다”며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도 기형적인 `역피라미드 구조`라며 비판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국민 합의를 받으려면 자구적 노력과 구체적 방안을 내놓고 청사진을 보여주고 나서 올려달라고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는 “건강한 재원 구축으로 일정한 공적 영역이나 공공 서비스나 강화시킬 수 있는 저널리즘 등 강화의 비전이 사실상 보이지 않는다”며 “6000억원을 광고비로 받을 때는 공영성이 안 지켜지고, 2000억원을 줄여 4000억원만 하면 공영성이 서는 것이냐”고 말했다.
이종관 미래미디어연구실장도 “KBS의 경영 상황이 열악하다는 것만으로 설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자구 노력, 공적 책무, 이행 계획이 굉장히 고강도로 나와야 한다”며 “4000원까지 수신료가 올라가게 되면 가져올 연쇄적 파급효과를 고려해 KBS가 희생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윤석민 공영방송 발전을 위한 시민연대 사무총장(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은 “KBS의 거버넌스 문제, 공정성 문제, 정치권력 문제 풀려면 국민의 발언권을 높여야 하고, 그 방식이 바로 수신료를 올리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방통위는 이번 토론회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이달 말까지 의견서를 만들고 국회로 제출할 계획이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