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동네방네 '스마트시티'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대전 시내에 위치한 중앙시장. 이곳 상점에는 전기상태감지센터가 설치돼 있다. 오래된 전통시장 구조로 상점이 밀집한 탓에 전기 문제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스마트폰보다 작은 센서가 과전류 여부 등을 실시간 확인, 조금이라도 이상을 감지하면 경보를 울린다. 상인은 화재 걱정을 덜고 생업에 집중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의 일환으로 대전시가 추진한 중앙시장 개선 작업의 성과다. 수백억, 수천억 원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은 아니지만 시민이 체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어느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보다 효과가 높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새로 짓고, 여기에 각종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와 서비스를 결합하는 것만이 스마트시티는 아니다. 작지만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새로운 편익을 안긴다면 이 또한 스마트시티다.

스마트시티는 지난 2017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역점 과제 가운데 하나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개월여가 지난 그해 8월 관계 부처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스마트시티와 관련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야심 찬 프로젝트로 추진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권 초기의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로 스마트시티를 제안한 것이다. 이후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해 국토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이 전개됐다. 최근 민간사업자 선정 마무리 단계인 세종·부산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들 사업은 조 단위의 정부 예산과 민간 투자가 투입되는 초대형 사업이다. 수년 뒤 이들 시범도시가 완성되면 스마트시티 본보기가 될 것이다. 계획 단계부터 다양한 첨단 기술과 연계해 도시 기능을 발전시키고 시민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성과가 예상된다. 국가 시범도시 사업은 이대로 우리나라에 스마트시티를 확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다만 이들 대형 사업은 특성상 실제 성과를 누리기엔 길게는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들 사업과 함께 '투트랙' 형태로 중소 규모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꾸준히 추진해야 하는 이유다.

내가 살고 있는 우리 동네에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도입되면 지역 주민의 체감 효과가 크다. 대전 중앙시장 사례처럼 작지만 지역 주민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도입하면 그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다.

지난 상반기의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기여한 역학조사시스템도 좋은 예다. 위치정보와 결제내역 등 데이터 허브를 만들어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연구개발(R&D) 사업이 코로나19 대응에 쓰였다. 스마트시티 기술이 우리 일상생활을 지키는데 기여한 사례다. 화려한 외형을 갖추진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준 서비스다.

우리 동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중소기업, 특히 지역 기업에 기회가 주어진다는 점에서 지방 경제 활성화 효과도 있다. 대규모 사업은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대기업이 앞장설 공산이 크다. 소규모 스마트시티 사업을 다양하게 전개한다면 지역 기업 경쟁력도 높이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침 국토부도 내년에는 스마트시티를 전국 곳곳으로 확산시키는데 더욱 힘쓸 방침이라고 한다. 최임락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내년에는 더 많은 지역으로 스마트시티를 확산시키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구상대로, 시민 바람대로, 업계 희망대로 2021년은 우리나라 온 동네에서 스마트시티가 가져오는 작지만 값진 변화를 체감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
이호준 정치정책부 데스크 newlevel@etnews.com

[데스크라인]동네방네 '스마트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