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온고지신]신블라인드 채용 폐지로 우수 연구자 확보 계기 마련

김재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회장
김재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회장

정부가 공공 연구기관에서 시행되던 블라인드 채용 전면 폐지를 결정했다.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들의 지속적인 개선 요청이 반영된 이번 결정은 국가 연구기관 우수인력 확보를 통한 연구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출연연들은 연구기관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신규 채용이 대부분 연구업무를 수행하는 연구자에 집중돼 있다. 따라서 연구업무 수행 능력 전문성, 적합성 및 수월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연구실적 등 연구 활동 전반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하나 현재 블라인드 채용 방식으로는 연구실적에서 학교명이나 교신저자를 기재하지 못하는 등 한정적인 정보만 수집할 수 있어 지원자들 연구수행 능력을 실질적으로 검증하기가 어려웠다.

구체적인 일례로 직장 경력, 자기소개서 내용 이외에 평가위원이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항목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연구자 채용 시 연구실적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지만 블라인드 채용으로 인해 연구실적 진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외부 평가위원을 위촉할 때는 이해관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없어서 평가에 참여하기로 정해진 외부 평가위원이 전형 과정 중에 지원자를 대면한 이후 이해관계를 인지하고서 회피 신청을 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이러한 맹점으로 인해 정년퇴직한 지원자는 연구원 정년제도로 채용 대상이 될 수 없지만, 채용 전형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어 곤란을 겪기도 했다. 그 결과로 연구주제 민감성으로 인해 극도로 보안이 요구되는 한 출연연의 경우, 외국 국적 지원자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연구자 채용 최종단계에 합격하는 부작용을 낳은 적도 있다.

또 실제 현장에서는 응시자 논문 제목 및 메타정보 검색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학교 정보를 비롯해 블라인드 처리되는 정보를 유추할 수 있어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유용성이 다른 성격의 공공기관 채용보다 현저히 떨어졌고, 이러한 추가적인 확인 과정 등으로 오히려 행정적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한 것도 사실이다.

즉 연구기관들은 블라인드 채용을 완화하거나 혹은 예외 기관으로 지정돼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연구수행 인재 채용에 관해서는 이름, 성별, 나이, 가족관계 등 연구업무수행과 무관한 개인정보는 당연히 제외하고, 논문 전문, 과제참여 내용 및 역할, 연구실 및 학교 정보, 학교에서 수확한 내용과 연구 배경을 공개하는 등 전반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완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러한 애로사항으로 인해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되는 동안 공공 연구기관들보다 지원자 연구역량을 자세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기업에서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더 쉬웠다. 즉 블라인드 채용으로 인해 공공 연구기관들은 연구 수월성 확보가 어려워졌고, 국가 미래를 결정할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역량 하락까지 우려됐다.

인재를 채용할 때 공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공정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개인 역량과 성취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이번 블라인드 채용 폐지로 공공 연구기관에서는 연구 활동을 희망하는 지원자 연구역량을 구체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원자의 연구역량에 대한 정확하고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 채용이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이 확립되면 해당 연구기관에서 정한 임무와 목표에 부합되고 수월성 있는 우수 연구자 확보가 촉진될 것이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과학기술 글로벌 패권 경쟁으로 퍼스트무버(First Mover)로서 역할과 책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연구기관이 고유 연구 활동을 보다 수월성 있게 전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김재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회장 jaesoo@kis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