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민투형 클라우드사업’, 관건은 수익성

[데스크라인]‘민투형 클라우드사업’, 관건은 수익성

행정안전부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계획을 재수립했다. 기술 환경 변화와 부족한 예산 등을 감안하면 불가피한 선택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로드맵’으로 명명한 이 계획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우선 적용, 사업 기간·대상 재설정, 수행 주체와 예산 확보 방식 변경 등 다양한 내용을 담았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성숙도 최고 단계다. 클라우드 기능과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기존 업무시스템을 서비스형 인프라(IaaS)로 옮기는 ‘리프트 앤 드롭’ 방식을 탈피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까지 모든 것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자는 의미다. 클라우드 확산과 활용도 상승, 유연한 업무 환경 필요성을 고려하면 당연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사업 기간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로 기존(2021~2025년)보다 2년 늘려 잡았다. 대상 시스템이 기존 1만9개에서 범정부 정보자원 등록·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시스템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정보시스템 내용 연수, 사업 지연 가능성 등을 모두 염두에 둔 결정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수행 주체와 예산 확보 방식이다. 행안부는 각 부처와 기관별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로드맵을 수립, 자체적 추진을 안내했다.

로드맵과는 별개로 민간 투자 유치도 검토 중이다. 두 가지 방식을 통해 부족한 예산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가 민간 클라우드를 최우선 활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번 정부 정책과도 부합한다.

관건은 수익성이다.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나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는 투자를 통해 공공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수익성 확보는 별개 문제다.

2020년 말 도입된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SW)사업’ 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투형 사업은 사회간적자본(SOC) 분야에 사용되는 제도다. SW 분야에서는 대기업참여제한 제도 한계를 극복하고 부족한 예산을 만회하기 위해 도입했다.

그러나 제도 도입 2년여가 지난 올해 2월에서야 첫 사례가 나올 정도로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투형 SW사업에 대한 공공 수요를 잘 모르는데다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는 사업에 자체 예산을 투입하면서까지 참여하긴 어렵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민투형 클라우드사업도 다를 바 없다. 민간 클라우드 기업이 공공 클라우드 전환에 투자를 결정하려면 먼저 사업에 대한 수요와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다. 공공 SW사업 수요예보에 클라우드 전환 계획을 구체적으로 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민간 기업의 수익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참여 방식 마련은 필수 요소다.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은 비용만 제공하거나 민간이 비용과 기술, 인프라까지 모두 제공하는 방식 등 여러 참여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가령 민간이 제공한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공기관이 대중에 제공하는 서비스에서는 꾸준히 수익을 보장해주는 방식이 필요하다. 민간이 비용만 제공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뒤따라야 한다.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민투형 클라우드사업에 대한 관심도는 떨어진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과 이를 통한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도 지체될 수밖에 없다.

안호천 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