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관 대통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은 8일 ‘아들의 학교폭력’ 논란에 대해 “정쟁을 위한 무책임한 폭로와 가짜뉴스 생산을 멈춰주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이 특보는 차기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특보는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야당 대표까지 나서 무차별한 ‘카더라’식 폭로를 지속하고, 이것이 왜곡·과장돼 언론과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확대·재생산되는 상황에 침묵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들의 학폭 논란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책상에 머리를 300번 부딪히게 했다·손톱을 침대에 뿌렸다-[물리다툼은 있었으나 일방가해는 아니다] △‘진술서’ 토대 학폭 사례-[사본으로 서명과 작성날짜가 없고, 학생지도부 정식 진술서가 아니라 효력이 없다] △선도위원회 결정으로 학기 중 전학-[경징계 대상이나 ‘시범 케이스’로 중징계 받았다는게 복수의 전문 변호사 견해] △압력을 넣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가 열리지 않았다-[지침상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이 화해하는 경우 담임 교사가 자체 해결할 수 있는 사안] △학교 이사장과 통화해 압력 행사-[상황을 정확히 알기위해 문의, 추가 통화 사실도 없다] 등이다.
이 특보는 다만 “사실관계를 떠나 제 자식의 고교 재학 중 학폭 논란이 빚어진 데 대해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와 제 가족은 차치하더라도, 무엇보다 사회 일원으로 성실히 살아가는 관련 학생들에게 정신적·실질적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