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스마트홈, 편의성 넘어 접근성으로

고령화로 인한 돌봄 문제가 대두되자 한 지자체가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스마트홈으로 해결하겠다고 선언한 적이 있다. 집 안에 지능형 CCTV를 설치하고, 홀로 사는 노인에게 낙상 등을 감지하는 스마트워치 등을 지급했다.

스마트홈 서비스(자료: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홈 서비스(자료: 게티이미지뱅크)

야심차게 출발했던 이 사업은 몇 년 지나지 않아 사라졌다. 이유는 간단하다. 본인 동의 아래 이뤄진다 해도 CCTV로 노인을 돌본다는 자체에 저항이 있었다. 스마트워치나 스마트단말기 역시 사용법이 복잡해 고령층에 무용지물이었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홈 서비스는 편의성에 초점이 맞춰있다.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가전을 제어하고, 가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게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가전 에너지 사용량과 저감을 위한 모드 적용, 반려동물 모니터링 등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도 나온다.

전자모빌리티부 정용철
전자모빌리티부 정용철

하지만 정작 스마트홈 환경이 절실한 사람들에게는 혜택이 닿지 않고 있다. 바로 장애인이나 노인 등 주거 약자다. 손이 불편하거나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스마트홈 플랫폼을 활용한 가전 제어는 필수다.

최근 각광 받는 에너지 모니터링 기능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 LG전자는 집 안 가전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고, 인공지능(AI) 저감 모드까지 지원한다. 이는 홀로 사는 어르신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해 급격하게 많이 쓰거나 적게 쓸 경우 보호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실제 정부는 가스나 전기 사용량 등을 분석해 노인 가구 돌봄 서비스를 일부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홈 플랫폼을 활용해 필수 가전의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까지 더할 경우 한층 정교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스마트홈을 이용한 장애인, 노인, 아동 돌봄 시도는 꾸준히 시도됐다. 시장에서 뿌리 내리지 못한 것은 결국 돈 때문이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홈 서비스도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수요가 제한된 주거 약자를 위한 별도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필요성을 못 느낀 것이다.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을 확대해 IoT 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제품이 등록 가능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가전을 활용한 주거약자 돌봄 서비스를 위해 구매 지원 사업도 검토해야 한다. 실제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고효율 가전 구매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고효율에 기반한 스마트 가전으로 대상을 확대, 에너지와 가전을 결합한 정교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고민해봐야 한다.

기업 참여도 중요하다. 삼성전자, LG전자가 제공하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음성인식 외에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한 기능은 거의 없다. 스마트홈 서비스 수익화에 고민이 쏠려 있을 때 사회공헌을 위한 접근성 고민도 할 필요가 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