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인]50년 뒤 인구 절반이 63세 이상…“과학기술로 노동생산성 극대화해야”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생산연령 인구 전망

앞으로 50년 뒤엔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63세를 넘어설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1명 당 노인 1.19명을 부양해야 한다. 일하는 사람은 급감하고 부양할 사람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과학기술을 활용해 노동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시대적 과제로 떠올랐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위연령은 오는 2072년 63.4세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를 뜻한다. 지난해 44.9세였던 중위연령은 오는 2031년 50세로 올라가고, 2056년에는 60세에 도달한다. 이어 2072년에는 63.4세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50년 뒤에는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을 63세 이상이 차지한다는 뜻이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 인구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2072년에는 119명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2058년에 처음으로 100명을 넘어서, 생산연령인구 1명이 아이나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한다. 2070년 117.3명까지 오르며 2020년 예측치 '2070년 116.8명'보다 부양 인구 규모가 당초 전망보다 더 많이질 전망이다.

부양 인구 가운데는 노인이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2072년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유소년부양비)는 14.3명에 그치지만, 노인인구(노년부양비)는 104.2명까지 늘어난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22년 151.0명에서 2030년 312.0명으로 올라간다. 2030년부터는 노인 인구가 유소년 인구의 2배를 넘어선다는 의미다. 이후 2050년에는 504.0명, 2072년에는 726.8명으로 노령화지수가 더욱 올라간다. 50년 뒤에는 노인 인구가 유소년 인구의 7배를 웃돌게 된다.

이같은 '인구 재앙' 여파는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총인구 대비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지난해 71.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으나, 2072년(45.8%)에는 가장 낮아지게 된다. 반면 고령인구 비중은 2072년 47.7%까지 치솟아 OECD 1위로 올라선다. 총부양비 또한 118.5명으로 2072년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50년 뒤 학령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급감하는데, 부양 인구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구와 관련해 양보다 질적 향상을 도모할 것을 제안했다.

서용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많은 국가에서 인구정책을 펴왔지만 출산율을 올리는 데 성공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라면서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보이는 저출산 정책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구감소와 고령화 추세에 적응할 경제시스템으로 전환이 요구된다”면서 “인공지능(AI)·로봇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노동생산성 극대화하고 부족한 미래 생산연령인구를 보완해 네덜란드처럼 작지만 강한 국가로 도약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줌인]50년 뒤 인구 절반이 63세 이상…“과학기술로 노동생산성 극대화해야”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