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펫테크, K디지털 산업으로 육성하자

유니온커뮤니티의 세계 최초의 접촉식 비문 인식기 'UBio PetID'
유니온커뮤니티의 세계 최초의 접촉식 비문 인식기 'UBio PetID'

최근 사회구조 및 가족관계 해체, 변화로 미혼 남녀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 독거노인 가구 급증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 보다 높다. 정서적 공유나 교류를 사람이 아닌 반려견을 통해 얻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펫테크 시장이 개화하고 있다. 펫테크는 펫(Pet)과 기술(Tech)의 합성어다. AI, 생체인증,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산업을 뜻한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반려견 관련 시장은 2027년 6조 원 시장을 형성할 만큼 폭발적인 성장을 보일 전망이다. 급성장하는 반려동물 시장은 고품질, 스마트화, 웰빙 등이 트렌드화되고 있다.

최신 트렌드에 맞는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반려동물 TV채널 등의 서비스뿐 아니라 반려동물관리사, 반려동물행동 교정사, 반려동물 장례지도사 등이 유망직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핀테크와 결합한 펫 보험, 펫 신탁 등 금융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정부와 지자체는 반려동물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생체인증을 통한 반려동물 등록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2013년부터 한국은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칩을 체내 삽입하거나 목걸이 형태로 애완동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머물고 있다. 등록률은 10% 미만인 실정이다.

최근 정부는 반려동물 식별 서비스로 인간 생체인식과 같은 방식인 반려견의 코(비문)인식 기술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전국 지자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 비문인식과 안면인식 등을 통한 동물등록 실증특례를 알리는 공문을 발송했다.

민·관 협업으로 비문등록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는 펫보험 사업도 탄력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문등록이 활용되면 보험 사기 문제 등을 야기한 객체식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험사도 이전보다 활발하게 나설 수 있다.

동물등록제는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생후 2개월 이상 개를 지자체에 등록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지자체가 동물병원 등에 위탁해서 반려견 등록 등을 진행하는 만큼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협조 및 지원은 필수다. 실증특례를 진행한 과기정통부도 힘을 싣고 있다.

앞으로 대규모 데이터가 구축되면 펫보험뿐만 아니라 반려견 생애주기 전반을 관리하는 사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출생부터 분양, 성장, 장례까지 이력관리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각 생애주기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기견 찾기 및 유기범죄 방지 등 공공사업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실증특례를 받은 반려동물 비문등록 시스템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본격 도입되면 지지부진하던 국내 펫보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펫보험 시장은 여러 규제와 관리 부실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보험사들은 2014년 동물등록제 의무화에 따라 수요 증가를 기대하며 반려동물보험 출시에 적극 나섰다. 2017년 반려동물보험 판매는 3개사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현재 11개사까지 확대됐다. 하지만 아직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반려동물의 내장형 등록률은 50% 내외에서 정체돼 있다. 이미 등록된 반려동물의 관리도 미흡하다. 반려견의 경우 2021년 기준 46.6% 수준이며, 반려묘는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반려묘는 2021년 기준 전체 반려묘 225만마리 중 0.7%인 1만6700여만마리에 불과하다.

비문인식을 통한 관리시스템이 자리잡을 경우, 마이데이터 산업과도 연계될 공산이 크다. 이력관리나 동물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산업과 연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반려견 뿐 아니라 소, 돼지 등 사육 동물의 전주기적 생애 추적이 가능해져 농축산 마이데이터 산업으로 확대도 할 수 있다.

길재식 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