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국산 반도체 장비 업계에 번지는 미·중 리스크

[ET톡]국산 반도체 장비 업계에 번지는 미·중 리스크

지난달 말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는 미국 정부가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규제를 '다자'로 확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등 동맹국도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팔지말라는 것이다. 미국 기업만 중국에 수출을 못하는 것이 공평하지 않다 생각했는지, 한국·일본·유럽연합(EU)도 미국과 유사 수준의 중국 수출 규제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내 반도체 장비사들은 지난해 반도체 경기 침체에 고통스런 해를 보냈다. 핵심 고객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감산과 설비투자 축소에 나서면서 타격이 심했다. 반면 중국은 미국의 견제에 대응, 반도체 장비 확보에 혈안이었고 우리 장비사들에 그나마 활로가 될 수 있었다. 국내 장비사 가운데 최근 2년간 중국 매출 비중이 확대된 사례가 나타난 이유다.

하지만 이같은 추세는 비단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지난해 세계 톱 5이라 불리는 어플라이드·ASML·램리서치·TEL·KLA 등 상당수가 중국 매출 비중이 확대됐다. 그러나 규제 탓에 수익성이 높은 첨단 반도체 장비를 팔지 못하는 미국 기업 입장에서는 동맹국의 저강도 수출 규제가 탐탁치 않을 것이다.

아직 중국을 향한 다자 수출 규제는 미 반도체 업계의 의견 피력 수준으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반도체를 놓고 벌이는 미중 갈등에 비춰보면 가볍게 여길 게 아니다. 만약 미 상무부가 SIA의 의견을 받아들여 동맹국에 대(對) 중국 수출 규제를 강화하라고 압박한다면 우리 반도체 장비사들에 피해를 배제할 수 없다.

우리 정부도 미국 정부의 행보를 예의주시해야할 뿐더러, 대응 전략도 마련해야한다. 미국 정부가 실제 동맹국에 압력을 행사한 후에는 늦다. 갑작스레 수출길이 막힌다면 국내 반도체 장비사들의 숨통은 더욱 조여질 것이다. 더 이상 정치·외교적 대응의 실기로, 국내 반도체 산업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