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콘텐츠 사용료, 데이터 기반으로 보자

권혜미 통신미디어부 기자
권혜미 통신미디어부 기자

지상파방송사가 IPTV 콘텐츠사용료 산정방안을 두고 장외에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상파로 구성된 한국방송협회는 지난 5일 'IPTV 콘텐츠 사용료 산정방안 일방적 공표에 반대 성명'을 냈다. 채널 시청점유율, 채널별 IPTV 시청점유율, 콘텐츠 투자비 점유율, 편성 관련 지표, 플랫폼 기여도를 골자로 하는 IPTV 콘텐츠사용료 산정 방안에 반기를 들었다.

새로운 광경은 아니다. 이들 지상파와 유료방송 플랫폼 간 해묵은 갈등은 벌써 20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프로그램 사용료 재원은 한정된 자원이지만 합리적 산정 제도가 명확하진 않기 때문이다. 시청률, 콘텐츠 기여도, 방송의 다양성, 채널 특성 등 모두에 공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가 없다보니 사업자들은 매년 소모전을 벌이고 있다.

우리 방송시장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시장 영향력이 아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성과 중심 사용료 협상 기준이 요구된다. 장외전이 아니라 논리에 근거한 협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방송협회는 성명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IPTV 재허가 조건 자체가 콘텐츠 사업자 입장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며 쓴소리를 했다. 그러나 협상 테이블에 들어오지 않은 건 지상파라는 게 유료방송 업계 항변이다. IPTV 사업자는 콘텐츠사용료 산정방안을 마련해 지난해 12월 22일 콘텐츠사업자 측에 공지했다. 올해 1월 5일까지 각 콘텐츠사업자 의견을 취합했다. 이후 1월 12일 PP협단체 의견을 수렴했으며, 이러한 절차를 거쳐 산정 방안을 공개했다는 입장이다.

협상은 혼자 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마찰을 빚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테이블에 마주 앉아 '관계'를 이뤄야 진도가 나간다. '무시 전략'만 내세우기엔 시대가 변했다. 지상파가 강력한 주도권을 갖기엔 세상도 변했다. 협상 테이블에는 앉기를 바란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