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 첫 단추 잘 못 꿴 보험비교

김시소 기자
김시소 기자

보험비교서비스를 둘러싼 논란이 플랫폼 업계로 확전 양상이다. 토스가 선제적으로 수수료 인하를 검토하며 빅테크와 중소핀테크 업체 모두 곤란한 지경에 빠졌다. 보험업계과 핀테크업계간 협력으로 고객편의가 기대됐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소비자 편익은 뒷전이다.

지난 달 시작한 보험비교서비스는 흩어져 있는 각종 보험을 한눈에 비교하고 원스톱으로 가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보험업계와 핀테크업계 간 첫 논의부터 표준 API 도입문제로 삐걱이기 시작해, 비교서비스 전용 요율인 4요율 도입까지 각종 현안이 튀어나왔다. 보험업계와 핀테크 업계 그리고 핀테크 업권 내부의 이해관계 조율이 제대로 봉합되지 않은 채 서비스를 시작하다보니 지난 달 서비스 개시 후 △일부 상품이 노출되지 않거나 △다이렉트보험료보다 비싼 보합료가 책정되는 등 부작용과 불만이 속출했다.

이 같은 부실 속에 서비스 흥행이 부진했던 것은 당연하다. 보험비교서비스는 앞선 대출비교·갈아타기 서비스에 비하면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여기에 토스가 수수료 인하를 검토하는 등 공세를 취했다.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같은 빅테크는 토스 행보를 마냥 무시하기 어렵고, 중소 핀테크 업체들은 당장 서비스를 접어야할지 지속해야할지 기로에 섰다.

결자해지 해야 한다. 특히 금융당국은 논의 초반 이러한 부작용을 예측하는 목소리가 높았음에도, 서둘러 서비스를 강행한 책임이 있다. 금융위원회는 보험비교서비스가 개시 초반부터 이 지경이 된 원인을 파악하고 원점에서 중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보험업계에 끌려다녔다는 세간의 지적을 피할 수 없다. 보험업계는 비싼 보험료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4요율' 적용 정당성을 공개적으로 입증하거나, 그렇지 못하다면 이를 철회해야 한다. 핀테크 업계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서비스를 살릴 수 있는 소통을 시작해야 한다. 실패를 바로 잡을 기회는 많지 않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