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핫이슈]디지털 멀미를 잡아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애플의 야심작인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Vision Pro)'가 이달 초 출시되면서 그동안 콘텐츠 부족 등으로 침체기에 빠졌던 확장현실(XR) 시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비전 프로는 사전 판매 주문량만 20만대 이상에 달했으며, 이달 초 미국 출시 직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등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실사용 직후 고질적인 문제가 시장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바로 '디지털 멀미'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여전했기 때문이다.

비전 프로와 같은 XR 기기는 이른바 뇌를 속이는 기술이다. 뇌는 방어 기질을 갖고 있으므로 미세한 불편함만으로도 큰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정교한 기술로 이를 우회하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오감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전달받아 어떠한 상황이나 사물 등을 인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허상을 제공하는 XR 기기는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 등 오감을 실제와 유사하게끔 자극하고, 이를 통해 뇌가 현실과 가상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기기 화면의 빠른 움직임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어지럼증이나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움직이는 차나 배에 타고 있을 때 느끼는 멀미의 원인과 같은 것으로 사용자가 주시하는 화면과 현실 이미지 간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감각 불일치가 발생하면서 생긴 가상환경에서의 운동 멀미감이 바로 디지털 멀미다.

가상현실(VR)이나 XR 등은 대부분 고글 형태의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몰입도를 극대화하지만, 디지털 멀미로 인해 장시간 이용이 어려울뿐더러 반복 노출될 때 일상 속에서도 방향감을 상실하는 상황까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앞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이러한 디지털 멀미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도 했다. KRISS 안전측정연구소 연구팀은 지난 연구를 통해 VR 콘텐츠를 이용하기 전 눈을 뜨고 움직임을 억제한 휴식상태에서 5분,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각성상태의 10분 동안 뇌파를 측정하고 분석했다.

일주일 간격으로 총 2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 같은 동일한 자극을 주었을 때 뇌파를 분석한 결과 같은 사람의 전두엽 등 영역에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주파수 변화 범위가 일정한 것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사이버 멀미가 심한 사람일수록 뇌파의 변화 범위가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VR 콘텐츠 구성에 포함된 시각적 흐름, 사실감, 장면 복잡도 등 요소와 이동속도, 동작축, 회전범위, 시야 등 요소가 디지털 멀미의 실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연구를 통해 디지털 멀미 최소화를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디지털 멀미에 대한 정량 측정을 통해 영화와 같은 등급을 부여하고, 향후 콘텐츠 제작 및 개발 간 이를 고려한 맞춤형 제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인공지능(AI)으로 디지털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 엔진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기도 했다.

VR이나 XR 등 영상과 사용자 행동 간 정보 차이를 해석한 SW가 콘텐츠를 조정하거나 편집함으로써 간편하게 멀미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로, 방대한 데이터를 기계학습한 이 기술은 1~5단계의 정량 지표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객관 조정할 수 있다.

비전 프로를 선보인 애플 또한 최근 비전 프로 사용자 시점과 카메라 시점을 일치시켜 지연 속도를 줄이는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공개했다. HMD에 적용된 시스템이 사용자 시점과 화면이 일치하도록 전면 카메라 시점을 자동으로 옮기는 기술에 관한 특허로 현실과의 괴리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뇌가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방어 기질을 무너뜨리는 뇌를 속이는 기술의 발전이 곧 관련 산업 생태계 확장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멀미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각 중심의 콘텐츠를 넘어 다양한 감각을 동원하는 콘텐츠의 개발 또한 새로운 경험 제공과 동시에 뇌의 불편함을 줄이는 디지털 멀미 저감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