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핫이슈
요즘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깜짝 놀라게 만드는 과학 핫이슈는 뭐가 있을까?
-
- 척수 손상 하반신 마비, 극복할 수 있을까?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다시 걸을 수 있는 날이 올까? 해외에서 척수 손상으로 뒷다리가 마비된 쥐를 다시 걷게 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쥐와 사람의 차이가 큰 만큼, 해당 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상 혹은 종양
- 2023-09-24 12:00:00
-
- 슈퍼지구와 생명체

- 지구 외 행성의 생명체 존재 여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지만, 그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또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검출, 이 행성 전체가 바다로 뒤덮여 있을 것이란 관측 결과가 나
- 2023-09-17 14:00:00
-
- 배아줄기세포로 만든 '배아 모델' 사람으로 봐야 하나

- 정자와 난자 없이 사람의 ‘배아 모델’을 만드는 성과가 나왔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해 수정 후 14일 수준의 인공 배아를 만든 것이다. 제이컵 한나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 박사팀은 지난 7일 ‘네이처’에 수정 후 14일 단계 사람 배아에 나타나는 세포와 구조를 보여주는
- 2023-09-10 12:46:00
-
- 아시안게임 메달 색 결정할 '스포츠과학'

- 선천적인 재능에 더해진 피나는 노력. 스포츠 종목의 치열한 국가대항전에 참가한 국가대표를 떠올리면 항상 따라붙는 수식어다. 코로나19 여파로 1년이 연기됐던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이 다가오면서 메달을 향한 이들의 눈부신 경쟁도 곧 눈 앞에 펼쳐지게 된다. 그러나 메달을
- 2023-09-03 10:45:00
-
- 찬드라얀 3호와 달의 남극

- 달 남극에 인류의 손길이 처음 닿았다. 인도가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 발사로 처음 이룬 성과다. 인도는 미국, 소련,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했는데, 각각 네 번 시도가 다 뜻 깊다. 러시아는 1966년 최초 무인 달 착륙을 성공시켰고, 뒤이은
- 2023-08-27 12:00:00
-
- 친환경을 위한 핵심 원료 '파리'

-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인 플라스틱은 원하는 모양대로 쉽게 가공할 수 있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플라스티코스’로부터 유래한 단어다. 문자 그대로 복잡한 형상도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 사용량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편리
- 2023-08-20 10:00:00
-
- 지난해보다 올해 더…'지구가 끓는다'

- 태풍이 다녀가면서 조금은 더위가 가셨지만, 그 이전 한동안은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 날이 이어졌다. 밤낮을 가리지도 않았다. ‘절절 끓는다’는 표현이 딱 들어맞았다. 절기 상 입추와 말복이 지났어도 더위는 다시 시작돼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워낙 더우니
- 2023-08-13 13:00:00
-
- '묻지마 칼부림' 과학기술로 예방 가능할까

- 앞으로 일어날 대형 범죄를 예측하고 범죄 주체가 될 피의자를 미리 검거해 범죄를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많은 사상자 발생을 방지하고 재산피해를 최소화한다. 2002년 개봉한 공상과학(SF)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이야기다. 일면식도 없는 불특정 다수를 향해 무차별적
- 2023-08-06 12:57:52
-
- 미래 핵심 식량 될지도…단백질 풍부, 생산 효율적인 '곤충'

- 살인누명을 쓰고 억울하게 감옥에 갇힌 한 남자의 얘기를 그린 1970년대 영화 ‘빠삐용’에서는 주인공 빠삐용이 교도소 내 바퀴벌레를 잡아먹으며 연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 40년이 지나 개봉한 우리 설국열차에서는 영화 주역이자 하층민인 꼬리칸 사람들에게 바퀴벌레로 만
- 2023-07-30 13:00:00
-
- 발사체 시장 판도 흔들 '액체 메탄 로켓'

- 중국이 세계 최초로 액체 메탄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고성능·저비용을 추구하는 우주 발사체 연구에서 메탄을 연료로 한 발사체 상용화를 실현함에 따라 그동안 미국의 ‘스페이스X’가 주도해 온 발사체 시장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의 민간 우주기업 랜드
- 2023-07-16 12:06:00
-
- 발암물질 분류 예고 ‘아스파탐’ 먹어도 될까?

- ‘제로칼로리’ 음료의 주된 재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이 논란의 화두에 올랐다.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물질로 지목을 받았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아스파탐의 ‘발암물질 2B군’ 분류를 예고하면서부터다. 곧 WHO의 구체적인
- 2023-07-09 12:00:00
-
- 뇌 임플란트, ‘휴먼 혁명’ 이룰까

-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직접 만지는 대신 생각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작동시킨다. 뇌 기능 장애로 시각을 잃거나 몸 일부를 정상적으로 움질일 수 없는 사람들은 간단한 수술만으로 장애를 모두 극복한다. 공상과학(SF) 영화에서나 볼법한 이 같은 장면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
- 2023-07-02 10:00:00
-
- 식탁 코 앞에 다가온 배양육

-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로 불리는 배양육이 실제 우리 식탁에 오를 날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현실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가 배양육 생산기업 ‘업사이드 푸즈’ ‘굿 미트’의 닭고기 제품 민간판매를 승인했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졌다.
- 2023-06-25 10:06:00
-
- 맞설 수 없는 존재 ‘낙뢰’ 극복할까

- 최근 강원 양양군 설악해수욕장에서 낙뢰를 맞은 남성이 치료 중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장마철에 이어 다가오는 여름철 어김없이 발생하는 낙뢰는 이처럼 심각한 인명 피해는 물론 재산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주요 경계 대상인 자연재해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
- 2023-06-18 12:00:00
-
- 슈퍼 엘니뇨가 온다

- 올해 ‘슈퍼 엘니뇨’가 닥쳐와 전세계에 온갖 기상이변이 빈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각계에서 나온다. 엘니뇨는 태평양 동쪽 즉, 남아메리카 페루와 에콰도르 서쪽 바다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 따뜻한 현상이다. 스페인어로 남자아이, 나아가 ‘아기 예수’를 뜻하는 말이다
- 2023-06-11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