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핫이슈]운전하고 뛰어다니는 로봇 `휴보`

운전하는 휴보 모습
운전하는 휴보 모습

`운전하는 로봇 휴보(HUBO)`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가 지난 3일 서울에서 실제 자동차를 몰며 운전하는 시연을 했다.

3일 오후 5~6시에 서울 코엑스 앞 특설무대와 영동대로에서 `2016 미래성장동력 챌린지퍼레이드(이하 챌린지퍼레이드)`가 열렸다.

챌린지퍼레이는 지난해 처음 개최된 행사로 자율주행차와 드론의 도심 내 실도로 최초 주행과 박람회장 내 자율주행차 시승이 열렸다.

올해는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 중 실감형콘텐츠와 지능형로봇, 스마트자동차, 고기능무인기를 중심으로 도심 내 실도로에서 미래에 실현될 기술을 시연했다.

휴보는 이날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을 조수석에 태우고 운전을 했다. 이후 심현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의 운전로봇(DRIBOT)도 현대자동차의 100% 전기차 아이오닉을 직접 운전했고, 최 장관은 옆에 앉아 시승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로봇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그 기능 중 하나가 운전이고, 드라이봇은 항공기 조정도 가능한데 `상하이 콘퍼런스`에서 시뮬레이터이긴 하지만 항공기를 조정했다”고 말했다.

휴보는 휴머노이드(Humanoid)와 로봇(Robot)의 합성어로, 2004년 12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인간형 로봇이다. 연구팀은 2002년 1월 인간형 로봇 개발을 시작해 2002년 8월 국내 첫 인간형 로봇인 KHR-1의 몸체를 만들었다. 이듬해인 2003년 1월에는 KHR-1을 걷게 했다. 2003년 12월 KHR-2의 몸체를 제작했다. 2004년 8월 KHR-2는 줄을 끊고 걷기 시작했다. 이 KHR-2를 발전시킨 모델이 휴보이다. 이 로봇은 초창기에 키 120㎝ 몸무게 55㎏이었다. 2015년 키 168㎝, 몸무게 80㎏으로 다시 태어났다. 겉보기엔 한결 날씬해졌지만 훨씬 강한 힘과 안정적인 보행으로 거듭났다. 공식 애칭은 `DRC휴보Ⅱ`로 불린다.

초창기에는 41개의 전동기(모터)를 갖고 있어 몸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고, 따로 움직이는 손가락으로 `가위 바위 보`도 할 수 있다. 인간과 블루스도 출 수 있으며, 손목에 실리는 힘을 감지하여 악수할 때 적당한 힘으로 손을 아래위로 흔들기도 한다. 최근 휴보는 두 손을 모아 하트모양을 그리고 춤을 추기도 한다.

[과학 핫이슈]운전하고 뛰어다니는 로봇 `휴보`

휴보는 지난해 세계 우수 로봇들과 경쟁해 미국 다르파 대회에서 우승했다. 다르파 대회는 2011년 일어난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기획됐다. 미국 국방성 산하 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최하고 재난 현장에서 사람을 대신해 구난 임무를 할 수 있는 실력을 겨루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즉 세계 최고 성능의 재난로봇을 가리는 대회다.

고장 난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 로봇이 사람 대신 들어가 냉각수 밸브를 잠그고 나오는 것이 목적이다. 차량 하차, 밸브 잠그기, 장애물 치우기, 벽에 구멍 뚫기 등 8가지 과제를 얼마나 빠른 시간에 수행했는지에 따라 순위를 갈린다. 대회 참가 로봇은 직접 자동차를 운전하고 험한 땅을 걸어가야 하며 사다리를 기어서 올라가 냉각수 밸브를 잠그는 등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휴보는 다르파 예비경기에서는 9등을 했다. 하지만 본선에서 1등을 하면서 독보적인 기술을 과시했다. 휴보는 차량을 스스로 운전해 경기장에 문을 열고 들어간 뒤, 밸브를 잠그고 계단을 오르는 등 8개 과제를 44분 28초에 완수했다. 총 24개 팀 중 8가지 과제를 모두 수행한 로봇은 단 3대였다. 이 3대 로봇 가운데 휴보가 1위를 기록했다.

휴보는 차에서 직접 뛰어내리는 동적하차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이족보행이면서 바퀴보행으로 형태 변환이 가능한 것이다. 휴보 시스템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준호 KAIST 교수는 “휴보를 뛰어넘는 새로운 인간형 로봇을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다르파에서 배웠던 경험을 바탕으로 좀 더 실용적이고 성능이 좋은 형태의 필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2~3년 내에 발전된 형태의 로봇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휴보처럼 다리가 달린 이족형일수도 있고 아예 개념이 다른 사족형, 바퀴 굴리는 형이 될 수도 있는데 재난, 작업, 물류 등 각종 현장에 적합한 형태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