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수원시, 6개 기관 참여 군공항 이전 TF 확대 정부에 요청

    경기 수원시가 군공항 이전을 비롯한 미래 전략사업의 국가적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정부에 '대통령 직속 범정부 군공항 이전 TF 확대 구성'을 공식 건의한다. 수원시는 4일 라마다프라자수원호텔에서 열린 당정 정책간담회에서 이재준 시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은 기획재정부, 국

    2025-07-04 15:08
  • 기사 썸네일
    소니, 초경량 '링크버즈 핏 핑크' 출시

    소니코리아가 무선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링크버즈 핏 핑크 색상을 출시했다. 제품은 강력한 노이즈 캔슬링 성능과 귀에 딱 맞는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신제품은 통합 프로세서 V2와 듀얼 노이즈 센서 기술에 기반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제공한다.

    2025-07-04 13:57
  • 기사 썸네일
    바디프랜드, B2G 매출 전년比 22.3% 증가

    바디프랜드는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 경찰서·소방서, 경로당 등 B2G(기업정부 간 거래) 실적이 전년대비 22.3%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각 공급처별 매출액 비중은 공공기관(38%), 경로당(32%), 경찰서·소방서(3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서·소방서 매

    2025-07-04 13:32
  • 기사 썸네일
    쿠쿠, 부산서 첫 체험형 팝업스토어 운영

    쿠쿠는 부산 롯데백화점 광복점 지하 1층 분수대 광장 앞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쿠쿠는 '클린 홈'을 테마로 한 팝업스토어에서 △에코웨일 6세대 건조분쇄형 음식물 처리기 △미생물형 음식물 처리기 △파워클론 딥클린 무선청소기 △파워클론 로봇청소기 AI

    2025-07-04 13:22
  • 기사 썸네일
    삼성전자, AI 스크린 갖춘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원바디' 출시

    삼성전자가 7형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인공지능(AI) 홈 경험을 강화한 2025년형 상하 결합형 세탁기·건조기 '비스포크 AI 원바디' 신제품을 판매한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원바디는 국내 최대 25㎏ 용량 하단 세탁기와 22㎏ 용량 상단 건조기를 하나로 결합했다

    2025-07-04 10:24
  • 기사 썸네일
    한미반도체, HBM4용 장비 'TC 본더 4' 생산

    한미반도체가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 전용 접합(본딩) 장비 생산을 개시했다. 한미반도체는 지난 5월 프로토타입으로 출시된 'TC본더 4'를 생산,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나설 것이라고 4일 밝혔다. HBM4는 현재 최신인 5세대 HBM(HBM3E)

    2025-07-04 10:15
  • 기사 썸네일
    K-방산기업 풍산에프앤에스 제2공장 착공…논산 7만㎡ 부지 500억 투입

    방산전문기업 풍산에프앤에스가 글로벌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해 제2공장 신설에 500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회사는 2024년 매출 402억원을 달성해 전년(294억원) 대비 37% 성장해 수요 대응을 위해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업이익

    2025-07-03 17:00
  • 기사 썸네일
    곳간 채운 앱솔릭스, 반도체 유리기판 생산 늘린다

    SKC 자회사 앱솔릭스가 반도체 유리기판 생산 확대에 나선다. 본격적인 고객사 양산 공급을 타진하기 위해 출하 확대를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앱솔릭스는 최근 확보한 자금으로 증설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 유리기판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지 주목된다. 3

    2025-07-03 16:30
  • 기사 썸네일
    손끝을 넘어 손 전체로…확장되는 로봇 촉각 기술 [영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나노코리아2025'에서 손가락 세 마디 전체에 촉각 센서를 탑재해 사람 손처럼 감각을 인식하는 로봇핸드 기술을 선보였다. 앞으로 더 많은 감각과 움직임이 결합된다면, 사람처럼 섬세하게 반응하는 진짜 '인간형 로봇'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2025-07-03 16:27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20〉SK그룹, 한국이동통신 인수

    1994년 1월 선경그룹(현 SK그룹)이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대한민국 이동통신 산업의 판을 바꾸는 결정적 분기점이었다. SK그룹의 이동통신 사업 도전은 1980년대부터 시작됐다. 1992년 노태우 정부 시절 선경그룹은 체신부가 주관한 제

    2025-07-03 16:00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17〉TFT-LCD 국산화 개가

    1992년 4월 대한민국이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역사적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LCD 강국이었던 일본을 뛰어넘겠다는 의지로 박막트랜지스터(TFT) 액정표시장치(LCD)를 개발해 국산화한 것이다. 당시 LCD는 브라운관을 뛰어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았지만

    2025-07-03 16:00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16〉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Ⅱ' 순수 국산 기술로 개발

    1984년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이 시작됐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전산망에 쓰일 컴퓨터가 필요했다. 행정전산망 사업 담당이었던 데이콤은 외국에서 기술을 도입해 컴퓨터(주전산기) 상용화 계획을 추진했다. 당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2비트 유닉스 컴퓨터를 개발·상용화에

    2025-07-03 16:00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13〉삼성전자 국내 최초 휴대전화 'SH-100' 출시

    삼성전자가 1988년 9월 국내 최초의 휴대전화 단말기 'SH-100'을 출시하며 '국산 핸드폰 시대' 포문을 열었다. 이는 한국이 무선통신 단말기 독자 개발에 성공한 첫 사례로 이후 글로벌 휴대폰 시장 진입의 기반이 된 이정표였다. SH-100은 순수 국내 기술로 설

    2025-07-03 16:00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11〉전자산업 수출 100억달러 돌파

    박정희 정부는 부가가치가 높은 철강·기계·화학 같은 중화학공업을 육성해 기계공업을 이용한 공업화 발전을 꾀했다. 수출이 연평균 25% 증가하면 1980년에는 적어도 100억달러 수출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기 전망을 세웠다. 그 결과 당초 1980년과 1981년 달성을

    2025-07-03 16:00
  • 기사 썸네일
    상법 개정안, 여야 합의로 통과…경제계 “혼돈 막을 보완장치 필요”

    국회가 3일 본회의를 열고 상법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처리했다. 상법 개정안이 최종 통과함에 따라 이사의 주주 이익보호 충실의무 기준, 배임죄 적용 범위 등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상법 개정안은 국회의원 272인

    2025-07-03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