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7〉한국기계연구원(KIMM)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반도체 제조 수율을 높이는 공정 모니터링용 초정밀 다중 센서 기술을 테크비즈코리아 2025에서 선보인다. 초정밀 공정 모니터링 센서는 투과형 분광 센서를 통해 더욱 단순한 구조(협대역 필터-광 검출기)로 제작돼 광신호를 고감도(SNR 100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14〉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상-위성 통합 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6세대(6G) 위성통신 기술을 공개한다. 이 기술은 지상 이동통신 시스템 커버리지 한계에 따른 인한 도서, 오지, 공중, 해상 등 서비스 제약을 해소한다. 저궤도 위성(고도 300~1500km)을 활용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10〉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은 비학습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및 모바일 크러셔 제조공정 품질검사 기술 등을 선보인다. 그동안 골재 제조, 광산 개발 산업군 등에서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비전 데이터 획득에 한계가 있었다. 또 AI 추론 결과를 실시간 공정에 반영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6〉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추천정보 서비스'를 출품한다. AI 하이브리드 학습모델을 활용해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선별·추천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사용자 콘텐츠 검색 이력 △사용자 참여인력으로 기록된 콘텐츠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5〉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선보이는 '초박막 유연 압전물질 기반의 웨어러블 혈압센서 기술'도 이목을 끈다. KAIST가 소개하는 기술은 미세 맥박 파형을 정화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피부 밀착형 초박막 패치형 센서를 적용했다. 또 맥박-혈압 상관관계를 선형 회귀법 기반으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4〉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폐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 소재를 재사용하거나, 기존보다 월등하게 업사이클링하는 기술도 테크비즈코리아 2025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관련 기술을 내놓았다. 기존 폐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재활용을 위해 고온 열처리 및 강산 침출 공정을 활용하고,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3〉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모듈러 주택 공급 확대 어려움, 이에 따른 비용 증가를 해소할 신기술을 소개한다. 철강재를 쓰는 기존 모듈러 주택은 프리패브(사전제작) 비율이 낮아 공급 확대가 어려웠다. 무거운 자체 중량과 낮은 단열 성능도 문제였다. 이에 대량생산을 추구하면서 기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테크비즈코리아 2025]〈1〉기초과학연구원(IBS)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테크비즈코리아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해 'mRNA 번역 증가용 조절 엘리먼트 스크리닝 방법'을 선보인다. 김빛내리 IBS RNA 연구단장의 연구 기술이다. 바이러스 유래 서열을 이용, 단백질 생성량을 높이는 RNA 조절 엘리먼트를 찾아내는 새

    2025-07-06 09:00
  • 기사 썸네일
    표준연, 정밀도 '양자 한계 수준' 길이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이호성)은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한계 수준 정밀도를 갖는 길이 측정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세계 최고 수준 정밀도를 갖추면서 야외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해, 차세대 길이 측정 '기준'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현재 가장

    2025-07-04 17:23
  • 기사 썸네일
    한양대 유호천 교수팀, 세계 최초 '분리·재사용 가능한 유기 전해질 트랜지스터' 개발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유호천 교수와 부경대학교 화학공학부 이은광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유기 전해질 트랜지스터(Detachable and Reusable Organic Electrolyte Transistor)'를 개발했다고

    2025-07-04 11:09
  • 기사 썸네일
    KIRD-한국저작권위원회, 과학기술인 저작권 인식 제고 맞손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3일 한국저작권위원회와 과학기술 분야 저작권 인식 제고 및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생성형 AI 등 디지털 환경에서 저작권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인 창의적 연구성과가 정당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저

    2025-07-03 17:12
  • 기사 썸네일
    [포토] 스크린으로 보여주니 더 생생해

    때이른 폭염과 열대야로 실내전시관, 체험학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학생들이 여섯갈래꽁지털나방의 암컷과 수컷이 생식기 이외의 생김새, 크기, 색깔, 무늬, 행동 등이 다르게 나타나 암수가 구분되는 '성적이형'에 대한 설명을 스크린으로 보고 있다.

    2025-07-03 16:28
  • 기사 썸네일
    [포토] 연료전지의 구조는

    때이른 폭염과 열대야로 실내전시관, 체험학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학생들이 스캐너로 연료전지의 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2025-07-03 16:26
  • 기사 썸네일
    [포토] 체험으로 반도체 공부

    때이른 폭염과 열대야로 실내전시관, 체험학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학생들이 다른 두 반도체의 만남 'PN접합'을 체험하고 있다.

    2025-07-03 16:25
  • 기사 썸네일
    [포토] PN접합 체험하는 학생들

    때이른 폭염과 열대야로 실내전시관, 체험학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학생들이 다른 두 반도체의 만남 'PN접합'을 체험하고 있다.

    2025-07-03 1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