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정보시스템 장애를 예방하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도입한 정보시스템 '표준운영절차' 적용 범위가 응용프로그램(AP)까지 확대된다. 행정안전부는 정보시스템 표준운영절차를 기반으로 AP 관리에 특화된 'AP 표준운영절차'를 마련, 모든 행정·공
-
행안부, 정보시스템 인프라부터 응용프로그램까지 관리 표준 관리···디지털정부 안정성 강화2025-04-14 12:00
-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정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도입 효과 극대화
“정부는 제도와 절차 개선을 병행 추진해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도입 효과를 극대화하겠습니다.” 손성주 행정안전부 디지털기반안전과 과장은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4'에서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에 기반한 디지털정
2024-11-28 17:00 -
주민등록증도 모바일로···'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대 열렸다
앞으로는 실물 주민등록증을 휴대전화에 저장해서 본인 확인이 가능해진다. 2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주민등록법' 개정안 시행을 한 달여 앞두고 발급절차, 보안대책 등 법에서 위임한 세부 사항을 규정한 '주민등록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주민등록
2024-11-26 16:29 -
예산 없어 중단된 지자체 '온북' 시범사업, 이달 재개
예산 부족으로 잠정 중단된 '지자체 온북(업무용 노트북) 시범운영' 사업이 이달 중 다시 시행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손꼽힌 온북을 중앙행정기관을 넘어 지자체까지 도입하려는 시도다. 〈본지 2024년 6월 4일자 1면 참조〉 10일 업계와 정부
2024-10-10 16:00 -
유엔 전자정부 평가 한국 4위…'온라인 서비스' 세계 1위,종합 1단계 하락↓
한국 전자정부가 국제연합(UN) 전자정부 평가에서 193개 회원국 중 4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전체 순위는 지난 2022년 평가보다 1단계 하락했으나 ‘온라인 서비스’ 부문은 2단계 상승해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온라인 서비스는 전자정부 관련 법·제도·전략, 서비스·
2024-09-19 18:53 -
민간 연봉 받는 'IT 공무원' 탄생, “정보시스템 개선”
정부가 지난해 11월 행정망 셧다운을 계기로 연봉 상한에 제한이 없는 IT 공무원 영입에 성공했다. 정부는 대국민 IT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IT 공무원 영입에 나섰다. 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행안부가 지난 7월에 공고한 ‘정보시스템 운영 안정성 확보’ 분야
2024-09-17 14:57 -
네이버·토스·카카오 등 앱 모바일 신분증으로 은행계좌 만든다
실물 신분증이 없어도 네이버, 토스, 카카오 등 민간 애플리케이션(앱) 모바일 신분증(운전면허증·국가보훈등록증 등)을 통해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 구현을 위해 모바일 신분증 적용 확대를 추진 중인 정부 정책에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2024-09-12 15:00 -
尹이 지은 '디지털플랫폼정부', 브랜드화 착수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 브랜드화에 착수했다. 주요 서비스 성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어려운 개념과 용어 탓에 대국민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행정안전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라는 정부 모델을 브랜드화하는 논의를 시작했다. 디지털
2024-09-04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