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韓 상륙 초읽기…지커코리아, 새 사령탑에 임현기 대표

    중국 지리홀딩그룹 산하 고급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가 한국법인 신임 대표를 선임하고, 딜러사 4곳을 최종 선정하는 등 연내 한국 진출을 위한 막바지 작업에 착수했다. 올해 초 출범한 BYD에 이어 지커의 한국 상륙이 가시화되면서 중국 전기차의 한국 시장 공

    2025-04-27 13:00
  • 기사 썸네일
    [ET톡]로보택시 패권 노리는 中의 야심

    “중국 자율주행 산업은 정부가 모든 것을 지원하는 국가 차원 비즈니스입니다. ” 이달 중국을 다녀온 국내 자율주행 기술기업 대표는 “중국과 기술 격차가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이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중국의 야심이 운전자 없는 '로보택시'로 향하고 있다. 전기차와

    2025-04-24 16:00
  • 기사 썸네일
    폭스바겐 “2027년까지 中에 신차 '30종' 이상 투입”

    폭스바겐이 2027년 말까지 중국 시장에 30종 이상의 신차를 투입한다. 폭스바겐은 중국 상하이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미래 전기차 라인업을 예고하는 ID.아우라(AURA)', 'ID.에라(ERA)', 'ID.에보(EVO)' 3대의 콘셉트카를 공개하고 이 같은 전략을

    2025-04-24 13:56
  • 기사 썸네일
    中 정부, 반도체 장비사 재편 추진…“200개→10개 '선택과 집중'”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장비사를 소수 정예로 재편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도 높은 제재에 맞서 산업 경쟁력을 극대화, 반도체 자립을 강화하려는 포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자국 반도체 장비사를 대대적으로 재편,

    2025-04-21 16:00
  • 기사 썸네일
    국정원, '中홍보업체 운영' 국내 언론사 도용 사이트 7곳

    국가정보원이 중국 언론홍보업체가 국내 언론사 명칭을 사칭해 만든 허위 뉴스사이트 7곳을 추가로 확인했다. 앞서 국정원은 지난 2023년 '하이마이', '하이쉰' 등 중국 홍보업체가 서울프레스 등 국내 매체로 위장해 200여개 사이트를 운영한 사실을 두 차례에 걸쳐 공개

    2025-04-17 15:34
  • 기사 썸네일
    현대모비스, 상하이모터쇼에 신기술 10종 공개…“中 수주 2억달러 목표”

    현대모비스가 23일 개막하는 오토상하이 2025(상하이모터쇼)에서 중국 시장 특화 신기술을 선보인다. 상하이모터쇼 참가를 시작으로 현지 고객 대상 제품 로드쇼를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 올해 수주 목표인 2억달러(약 286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중

    2025-04-16 14:25
  • 기사 썸네일
    해외 관심 받는 K-보안…中 매체 조명·美 자산운용사 투자

    국내 사이버 보안 기업에 대한 글로벌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중국 매체는 국내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 보안 기업을 조망하는가 하면 글로벌 자산운용사는 국내 기업에 직접 투자를 단행했다. 27일 정보보호산업계에 따르면, 중국 매체 QQ뉴스는 최근 “사이버보안은 국

    2025-03-27 17:00
  • 기사 썸네일
    벤기협, '中 연길 시장 진출·수출 확대' MOU 체결

    벤처기업협회는 중국 연길시, 룽마트그룹과 지난 18일 협회 대회의실에서 국내 벤처기업의 중국 연길시장 진출 및 수출 판로 확대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길시는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자리 잡고 있으며,

    2025-03-19 14:44
  • 기사 썸네일
    창안차·샤오펑 등 中 전기차, 韓 진출 추진

    중국 5대 완성차 중 하나인 '창안자동차(Changan Auto)'와 신생 전기차 '샤오펑(Xpeng)'이 한국 진출을 추진한다. 앞서 국내 판매를 공식화한 BYD, 연내 출범을 앞둔 지커(Zeekr)를 포함해 한국 시장을 겨냥한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의 공세가 거세지고

    2025-03-11 16:00
  • 기사 썸네일
    3000만원대 전기차 경쟁 점화…보급형 모델 잇달아 출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가 3000만원대 보급형 전기차를 잇달아 출시한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구매력이 저하된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고, 합리적 가격의 전기차로 수요 정체(캐즘)을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 포석이다. 현대차는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겨냥한 전용 전기차 'OE1'(프

    2025-02-26 16:00
  • 기사 썸네일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보복·제소 '맞불'…글로벌 경제 충격파 시작

    트럼프 대통령이 보편적 관세 공약을 실행에 옮기면서 글로벌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반발하면서 보복 조치를 선언했고, 중국 역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외신들은 동맹국과 무역 갈등이 격화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2025-02-02 13:16
  • 기사 썸네일
    딥시크에 알리바바까지…미·중 AI 패권 전쟁 격화

    인공지능(AI)을 둘러싼 미·중 패권 전쟁이 다시 불붙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구현한 데 이어, 중국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알리바바가 오픈AI와 메타를 뛰어넘는 AI를 발표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29일 AI 모델

    2025-01-30 14:30
  • 기사 썸네일
    “중국 딥시크 AI 모델, 미국 최고 모델보다 앞서거나 동등”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AI 모델이 챗GPT 개발사 오픈AI 등의 모델을 일부 앞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딥시크는 지난해 12월 거대언어모델(LLM) V3를, 이번 달 20일엔 R1이라는 추론 모델을 공개했다. 딥시크는 기술보고서에서 V3의 성능을

    2025-01-28 10:10
  • 기사 썸네일
    'AI 지각변동' 中딥시크 창업자는 본토 출신 40세 컴퓨터전공 펀드매니저

    전 세계 인공지능(AI) 업계에 지각 변동을 일으킨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창업자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정보기술매체 테크놀로지 리뷰 등에 따르면, 딥시크 설립자는 중국

    2025-01-28 09:54
  • 기사 썸네일
    中 '저비용 AI' 딥시크 출현 충격파… 美 “AI의 스푸트니크”

    미국 정부와 빅테크 기업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출현으로 충격에 휩싸였다. 미 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에 반도체 수출을 제한했고 빅테크 기업은 AI 개발에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한 가운데, 딥시크가 고성능 칩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비용으로 챗GPT

    2025-01-28 09:24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