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구글캠퍼스 서울’에 거는 기대

최근 새누리당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함께 서울 강남구 대치동 ‘구글캠퍼스 서울’ 현장에 다녀왔다. 창의적 생각과 도전정신으로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을 위한 구글캠퍼스의 선진 창업보육시스템과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과 교육시스템을 직접 눈으로 봤다. 구글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활발한 해외진출과 실용적인 일자리 창출 등 큰 효과를 기대한다.

[특별기고]‘구글캠퍼스 서울’에 거는 기대

전 세계 세 번째(영국 런던, 이스라엘 텔아비브)로 문을 연 ‘구글캠퍼스 서울’에 관심이 남다른 첫째 이유는 ‘구글캠퍼스 런던’의 결과물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2012년 개관한 ‘구글캠퍼스 런던’이 1년 만에 약 4만명 회원과 7만명 이상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혜택을 받고, 274개 스타트업이 57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냈다.

둘째는 구글의 강력한 글로벌 네트워크다.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진출에 글로벌 네트워크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우리나라엔 ‘아산나눔재단의 마루180’ ‘소프트뱅크벤처스’ 등 스타트업을 지원하거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투자사는 많지만, 구글과 같은 강력한 해외 네트워크 체인은 아직 없다. 구글은 자신들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로 진출하는 구체적 방법까지 함께 찾아준다.

스타트업에 대한 구글캠퍼스의 차별화된 지원프로그램도 관심이 남다른 이유 중 하나다. 구글캠퍼스 서울은 단지 좋은 조건의 업무공간을 지원해주는 차원이 아니라, 스타트업 성공을 위한 일대일 상담과 기술 지원, 성공한 창업가나 마케팅 전문가 등의 강연도 함께 이뤄진다. 특히, 부모를 위한 캠퍼스를 조성해 어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창업공간과 교육까지 제공하고 있다.

물론 구글캠퍼스 서울에 우려 목소리도 있다. 한국은 안드로이드 개발자 수와 구글 플레이스토어 매출이 글로벌 상위 5개국에 들어갈 정도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도 80%를 웃돈다. 구글이 한국에 스타트업 육성보다는 구글 생태계 확장을 위한 포석이자 수수료 수익을 얻기 위한 투자로 보는 시각 때문이다.

그러나 구글캠퍼스 서울이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 것은 분명하다. 한국에 구글캠퍼스가 개관한다는 발표와 함께 미국 실리콘밸리, 이스라엘, 일본, 중국의 액셀러레이터들이 한국 스타트업을 향해 구애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의 요즈마그룹은 에틀리히 회장이 직접 대표를 맡아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하는 펀드조성과 함께 ‘요즈마 스타트업 캠퍼스’를 설립해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구글캠퍼스 서울이 한국에 설립돼 스타트업 생태계에 기여한 것은 물론이고 한국 스타트업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에 한국 대기업의 스타트업 지원 전략은 턱없이 부족하다. 대부분 대기업이 스타트업 지원 방안으로 협력사 지원만 하고 있을 뿐 제대로 된 지원은 하지 않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17개 광역 시도에 설치되고 있는 점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자체와 대기업이 협력해 지역주도로 선정된 특화 전략산업 분야의 중소·중견기업 성장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관·프로그램을 연계·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실상 구글캠퍼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구글캠퍼스에 비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성공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 혁신센터에 거는 기대가 크다.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는 미국 등과 비교하면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 세계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 막 활성화 초기 단계에 들어섰고, 한국 스타트업의 타깃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만큼 스타트업 생태계를 지속해서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선 정부와 대기업의 사명이 막중하고도 무겁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우리나라 대기업도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뜨거운 불씨를 붙여준 ‘구글캠퍼스 서울’을 본보기로 스타트업 육성에 투자하고, ‘스타트업은 충분히 미래의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는 대기업에서 지원할 수 없는 파격적인 정책지원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대기업의 투자 및 인식 전환과 정부의 파격적 정책지원이 잘 이뤄진다면 선순환 구조의 한국판 실리콘밸리 조성은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이 되어 나타날 것이다.

심학봉 새누리당 국회의원 shb745@hanmail.net